세계 최대 은행인 중국공상은행(ICBC)이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다통화 녹색채권(green bond)을 발행할 예정이다. ESG 전문 미디어 ESG뉴스는 15일(현지시각) 채권 발행 조건서를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녹색채권은 조달된 자금을 환경 개선 목적의 프로젝트에만 사용하는 특수 목적 채권으로,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실질적인 탄소중립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다.

 

달러·위안화 포함 다국적 발행…채권 규모·만기는 미공개

이번 녹색채권은 금융허브를 중심으로 홍콩·싱가포르 지점을 통한 달러 표시채와 두바이 지점을 통한 역외 위안화 표시채 형태로 발행된다. 다국적 발행은 중국 본토 외 금융시장에서의 발행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접근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중국이 일대일로(BRI) 정책 하에 중동과 아프리카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한 가운데, 두바이 지점을 통한 역외 위안화 채권 발행은 중동의 거점화를 더욱 강화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에너지 안보에 있어 강점이 있는 중동과의 에너지 수출입 과정에서 위안화 결제가 확대된다면 이는 중국의 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공상은행은 이번 발행을 통해 중국의 장기 탈탄소 전략에 기여하고 지속가능경영 의지를 재확인할 계획이다. 은행은 “이번 발행은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은행의 헌신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채권 규모와 만기는 조건서 및 규제 신고문에서 공개되지 않았다.

중국 공상은행에서 금융허브 거점을 통한 녹색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ChatGPT 이미지 생성
중국 공상은행에서 금융허브 거점을 통한 녹색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ChatGPT 이미지 생성

 

미중 무역갈등·지정학 리스크, 실질적 영향 우려

발행 조건서에는 지정학적 갈등과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실적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경고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특히 미중 무역 분쟁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리스크가 사업 전망과 재무 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통상적으로 사전에 공시된다.

공상은행은 “무역장벽이 해소되고 분쟁이 해결될지 여부와 시기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양국이 관세를 90일간 완화하기로 합의한 시점에서 나온 언급이다. 미국은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각각 인하하기로 했다.

한편 공상은행 외에도 중국은행(BOC), 중국건설은행(CCB) 등 주요 국유은행들은 각각 2023년 홍콩에서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하거나,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인증 녹색채권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서는 등 글로벌 투자자 유치를 겨냥한 친환경 금융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