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 ESG 정책_25.6.30.

1. 산업부, '소부장 기술' 민간투자 8501억원 유치… 'AI반도체' 견인

정부가 추진하는 '소부장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이 사상 최대 민간투자를 유치하며 첨단산업 기술 자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올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총 8501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정부가 기술개발을 지원하되, 기업의 민간투자를 전제로 추진하는 방식. 투자 분야별로 보면, AI반도체가 24개 기업에서 2602억원을 유치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627억원(13개 기업) 로봇·자동화 기계 441억원(12개 기업) 차세대 전지 분야 433억원(12개 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2. '3% 성장동력' 열쇠, AI서 찾는다… 기재부도 'AX 맞춤형' 모드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인공지능(AI)을 키워드로 성장엔진 확보를 위한 밑그림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목표인 '3% 성장동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AI '3대 강국' 도약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이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범주를 뛰어넘어 전 부처 차원의 총력 지원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밝혔다.

지난 29일 국정기획위원회와 범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26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추가 보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부적으로는 제조업, 비제조업, 공공의 3대 분야별로 'AX 로드맵'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3. 해수부,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사전타당성 연구 추진

해양수산부가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 연구를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우리나라와 호주는 사전타당성 연구를 통해, 양국 간 친환경 연료 공급망 분석 항만별 수출·입 화물 및 수요 동향 조사 연료공급을 위한 항만 인프라 체계 연구 운항에 적합한 선박의 종류 평가 등 녹색해운항로 선정을 위한 핵심 과제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에 착수하는 사전타당성 연구는 지난 2월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이후 첫 단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