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 ESG 정책_25.7.1.
1. 메탄올 선박연료 공급 관련 안전관리지침 개정 시행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선박을 통한 메탄올 연료 공급(STS, Ship-To-Ship) 활성화를 위해 「위험물 하역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승인 업무처리 지침」(이하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승인 지침’)을 개정하여 7월 1일(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메탄올 선박연료 공급은 위험물 하역의 일종으로, 공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체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행정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번 개정으로 메탄올 선박연료 공급 자체안전관리계획 수립 기준을 명확히 한다. 먼저, 선박 종류별로 계류 안전성 평가 기준이 명확해진다. STS 방식은 바람이나 파도에 흔들리는 두 선박 간에 연료가 이동하기 때문에, 부두와 선박, 그리고 선박끼리 안정적으로 묶여 있는 계류 안전성이 특히 중요하다.
이번 개정 지침 시행 이후, 안전시설을 갖춘 메탄올 공급 전용 선박의 경우 국제 통용 기준*에 준해 계획을 수립해서 제출하면 되고, 그 외 선박의 경우 해당 계획에 대해 전문기관의 검사를 받으면 된다.
또한, 안전관리구역 설정 기준이다. 기존에는 메탄올 누출 등을 고려해 안전관리구역을 설정해야 한다고 규정하였으나, 이번 개정으로 ‘선박연료 공급 호스 연결부로부터 반경 25m 공간’으로 그 구역을 명확히 규정하여 연료공급업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였다.
기상청(청장 장동언) 국립기상과학원은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발간하면서, 2024년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안면도에서 430.7ppm, 고산과 울릉도에서 각각 429.0ppm, 428.0ppm을 기록하며 3개 지점 모두 최고치를 경신했고, 특히, 안면도의 경우는 2023년보다 3.1ppm 증가한 수치로 최근 10년(2015~2024년) 기간 중 두 번째로 큰 연간 증가폭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해양대기청에서 올해 4월 발표한 2024년 전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422.8ppm으로 전년 대비 3.4ppm 상승해 최근 10년 기간 중 가장 큰 연간 증가폭을 기록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24년 우리나라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배경농도는,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3개 지점 모두 최고치를 경신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2024년 한반도에서 관측한 다른 지구대기감시 요소들인 에어로졸, 대기 중 반응가스와 강수 산성도는 대부분 줄고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지상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온실가스 관측을 위해, 기상항공기(고도 3∼8km)와 기상관측선을 활용해 우리나라 상공과 해상에서도 온실가스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2018년부터 항공관측을 시작하고 2021년부터는 선박 관측으로 확장했으며, 두 자료의 온실가스 농도(이산화탄소, 메탄) 모두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1년부터 매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누리집(www.climat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 산업부, '소부장 기술' 민간투자 8501억원 유치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기상청, ‘친환경에너지 기상서비스 포럼’ 개최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국제 양자기술 생태계 협력을 위한 사실표준화 논의 본격화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국민과 함께 공유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산림청, 바이오플라스틱의 원료인 리그닌 단량체 연구 착수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포럼)’ 개최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 지정, 공급망 탄소파트너십 지정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국립산림과학원, 차세대 이차전지 고체상 전해질 공극제어 기술 개발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2호 조성, 연내 1000억원 투자 추진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환경부-금융위원회, 탄소중립 앞당길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양성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인권이사회에서 우리 정부 주도 ‘신기술과 인권’ 결의 채택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산업부, 탄소감축 투자 기업 1521억 융자 지원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대상 확대, 1.5조 규모 국가 주도 ESS 시장 열려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관계부처 합동 'RE100 산업단지 추진 TF' 발족
- “가격처럼 배출량도 표시”…에어프랑스-KLM, 탄소 라벨 도입 나선다
- 노후 인프라 사고 계기, 美 파이프라인 책임법 재발의…EPC 입찰 조건에도 파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