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관련 재무공시 태스크포스(TNFD)가 5일(현지시각), 금융기관이 투자 포트폴리오 내 자연자산 의존도와 영향도를 식별·평가·공시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실무 과제를 정리한 논의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주요 시장 참여자 및 데이터 제공기관과의 라운드테이블 논의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오는 11월 3일까지 의견 수렴을 거쳐 향후 지침 마련에 반영될 예정이다.
TNFD는 보고서에서, 금융기관들이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자연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파악하기 위해 LEAP 접근법과 지표를 도입하고 있으나, 데이터 품질, 위치 기반 정보, 기업 공시의 일관성 부족 등으로 인해 실질적 평가와 공시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공시 확산에도 ‘기업 데이터 의존’만으로는 한계
관련기사
- GRI·TNFD 사례 보고서, 기업의 자연 리스크 분석…'이중중대성' 넘어 실질 리스크 관리로
- TNFD, 어업·해운·크루즈 공시 지침 확정…MSC·SBTN 기준 연계
- 기업 이사회가 놓치면 안 될 자연 리스크…TNFD, 첫 가이드라인 발간
- ISSB, 자연 공시 기준화 착수…TNFD 권고안 공식 반영
- TNFD, 기업 대상 자연공시 교육 플랫폼 출시… 글로벌 공시 의무화 대비
- 기후 적응·회복력 공시 부실…S&P500 기업, 평균 충족률 21%
- 바클레이스, 자연 리스크 경고…광업 수익 25%↓, 발전업 10%↓
- 제3차 자연자본공시포럼, TNFD 공시 흐름과 글로벌 기업 대응 전략 공개
- JP모건·카본디렉트, ‘탄소감축+생물다양성’ 통합 가이드 제시
- TNFD, ‘자연데이터 허브’ 설계안 공개…공시비용 줄이고 데이터 신뢰 높인다
고현창 editor
jameskhc@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