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기술원은 올해 말까지 환경 책임투자 종합 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지금껏 공개되지 않았던 환경 DB를 공개하고 산재돼 있던 정보를 한곳에 모으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수많은 ESG 평가지표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을 위해 참고용으로 표준 환경 평가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환경산업기술원은 20일 2차 대한상공회의소 ESG 경영 포럼에 참여해 환경정보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환경산업기술원 곽대운 녹색투자 지원실장은 “작년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환경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정비해 달라는 많은 요청을 받았다”며 “올해 말까지 환경 책임투자 종합 정보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환경 DB는 여러 사이트에 흩어져 있었다. 가령 탄소 배출량은 온실가스 종합정보시스템에, 화학물질 배출량과 위반 사항은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 시스템에, 에너지 사용량은 한국에너지공단 등에 각각 공개돼왔다.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를 하나의 플랫폼에 모으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ESG 평가기관에서 중요하게 보는 환경법규 위반을 공개하는 기업도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 정보 공개 대상 기업이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으로 확대되면서다. 현재 환경법규 위반현황은 굴뚝 산업 등 제조업과 중소기업 등 환경정보 공개 대상에 한해서만 공개되고 있다. 

곽대운 녹색투자 지원실장은 “ESG 평가가 확대되고 있지만 기업의 정보 공개 수준은 높지 않아 데이터 결측률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0년 기준 오염배출량 등 기업의 환경 성과를 포함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공개하는 민간 기업은 144개사, 환경정보 공개제도 공개대상은 881개사에 그친다.

곽 실장은 “환경부는 고품질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장기업이라면 현장 실사까지 진행하고 있다”며 “ESG 평가가 확대되면서 시장에 확실히 검증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느껴 이번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밝혔다.

정보 보유 환경 DB 19개 목록/환경산업기술원

환경 책임투자 종합 정보 플랫폼엔 이외에도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K-택소노미(녹색 분류체계) 등 녹색금융 관련 지침,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SRI)채권 세그먼트에 공시된 녹색채권 발행현황 등도 함께 게시된다. 더불어 녹색채권의 환경개선 효과를 계산해볼 수 있는 환경 개선 기여도 계산기도 제공된다. 

 

올 상반기까지 표준 환경(E) 평가 기준도 공개

대출상품·지수 등에 녹색요소 반영 용이할 듯

환경정보 제도를 전반적으로 손보면서, 동시에 기업들에 혼란을 일으키는 E(환경) 평가 기준의 표준도 제시할 방침이다. 

환경산업기술원은 2017년 1월부터 환경정보를 입력하는 3만8340개사를 대상으로 환경성 평가(enVinance)를 진행해왔다.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19개 환경정보를 활용해 100점 만점으로 점수와 등급을 매기고 있다. 

먼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긴 후, 구간대별로 나눠 9개 등급(AAA~C)로 분류한다. ▲대기·수질·화학물질·폐기물 분야별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전년 대비 개선도 ▲환경 부과금 ▲산업 리스크를 반영한 환경관리수준(70점)과 ▲녹색기업 지정 ▲환경표지인증 ▲녹색인증 등 각종 환경관련 인증을 반영한 환경 경영활동(30점) 지표를 사용한다. 여기서 환경법규 위반 경중과 횟수에 따라 최대 20점까지 깎일 수 있다.

환경성 평가지표는 공개되고 있지만, 산식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 환경산업기술원은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민간평가 기관의 평가지표·방법론까지 분석해 올 상반기 시장이 참고할 수 있는 표준 환경성 평가 산식을 개발하고 안내서도 발간할 예정이다. 

다만, 표준 환경성 평가 산식은 가이드라인 성격을 띤다. 곽 실장은 “표준 지표와 산식을 만드는 건 어디까지나 참고용”이라며 “민간에선 이를 활용해 지수 개발이나 대출 상품에 환경 요소를 고려하는 제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산업기술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환경성 평가(enVinance)는 현재 협약을 맺은 금융기관에 제공되며, 금융기관들은 이를 활용해 환경 요소를 반영한 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8개 은행(▲IBK기업은행 ▲신한은행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부산은행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대구은행)과 2개 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이 현재 등급을 받아보고 있다. 환경성 평가 등급을 활용한 녹색금융 상품 규모는 1조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대출 1조9400억원, 환경정책자금 1622억원, 보증 259억원이다.

다만 환경성 평가대상은 주로 굴뚝 산업 등 제조 중심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중심이었다.

관련기사: 정부, 카카오 등 대기업 환경평가도 진행할 듯... 택소노미는 7월 공개

환경정보 공개대상도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으로 확대되고, 표준 환경성 평가지표·산식이 공개되면 규모가 큰 기업들도 환경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곽대운 녹색투자 지원실장은 “환경 요소를 대출이나 금융상품에 도입하고 싶어도 ESG 평가에 대한 객관성 결여나 정보 부족으로 애로사항을 토로하는 이해관계자가 많았다”며 “시장의 지적을 반영한 제도 개선으로 녹색금융이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