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학균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이 행사에서 발제를 하고 있다. / 임팩트온
맹학균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이 행사에서 발제를 하고 있다. / 임팩트온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둘러싼 규제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이 설계 단계부터 순환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25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제1차 에코디자인 정책포럼’에서는 정부·학계·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글로벌 규제 대응, 자원순환형 설계 전략, 민관 협력의 과제를 놓고 현실적인 해법을 논의했다.

송두근 삼성전자 부사장은 기조발표에서 “기술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핵심 키워드이며, 이는 기업 혼자서는 달성할 수 없는 과제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함께 협력해야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순환성은 설계에서 시작…기업들 한목소리

포럼에 참석한 연사들은 한목소리로 제품 기획·설계 단계부터 자원 효율성을 내재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한 주한유럽연합대표부 정책관은 “EU는 에코디자인 지침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통해 공급망 전체의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도 규제 대응을 넘어 제품 차별화의 무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맹학균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정부도 설계 단계부터 순환경제 요소를 반영하는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며 “기업의 선제적 투자와 맞물려야 성과가 난다”고 밝혔다.

조지혜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순환경제의 성패는 결국 소비자가 수리·재사용을 선택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한경 에코앤파트너스 대표도 “한국 기업은 여전히 재활용 중심 사고에 머물러 있다”며 “글로벌 경쟁에서는 수리·재사용 중심 모델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각자의 전략을 공유했다. 권순철 아모레퍼시픽 상무는 “1983년 업계 최초로 리필 제품을 출시한 뒤 포장재 단순화와 리사이클 플라스틱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며 “설화수와 같은 대표 럭셔리 제품까지 리필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이라고 소개했다.

전동욱 LG에너지솔루션 상무는 “배터리 산업은 생산-사용-재활용을 아우르는 전주기 순환 생태계 없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내재화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글로벌 협력 모델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사 패널들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 임팩트온
행사 패널들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 임팩트온

 

제조업 현장, 순환경제 성패는 정책 예측성과 민관 협력에 달려

글로벌 IT·제조업체들은 순환경제 전환의 관건으로 정책 예측성과 민관 협력을 꼽았다.

김혜선 HP코리아 전무는 “노트북 리퍼비시 파일럿을 통해 수명을 4년에서 7년으로 늘린 결과, 탄소 발자국을 35% 줄였다”면서도 “규제 도입 과정에서 기업이 실험하고 실패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환경 목적이 아무리 중요해도 비즈니스 모델로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지속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지적도 덧붙였다.

이형재 한국타이어 상무는 “EU의 EUDR, Euro7, RFID 의무화 등으로 업계는 수백억에서 수천억원의 추가 비용을 떠안게 됐다”며 “규제가 잦은 연기로 일관성을 잃으면, 선제적으로 준비한 기업이 오히려 손해를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포르쉐·BMW 등이 재활용 원료 비중 확대를 요구하면서, 타이어 산업 경쟁력은 성능을 넘어 친환경 소재와 디지털 기술 확보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 행사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유료 구독회원 전용 보고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