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사회 전환 비용인 '그린 프리미엄' 자금 조달 어떻게?
해운산업 녹색 금융 주목...글로벌 녹색금융시장 확장과 해운산업 활황 원인
한국도 금융사도 해운산업 녹색금융시장 확대에 대비할 것.

세계 자본시장은 탈탄소 사회 전환에 사용되는 비용인 ‘그린 프리미엄’을 충당하기 위해 ‘녹색 금융’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픽사베이
세계 자본시장은 탈탄소 사회 전환에 사용되는 비용인 ‘그린 프리미엄’을 충당하기 위해 ‘녹색 금융’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픽사베이

 

세계는 기후 위기 대응 행동으로 2050년 탄소중립을 중심으로,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다. 문제는 전략을 실행할 비용이다. 세계 자본시장은 탈탄소 사회 전환에 사용되는 비용인 ‘그린 프리미엄’을 충당하기 위해 ‘녹색 금융’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의 하나인 해운산업도 마찬가지다. 세계해사포럼은 성명을 통해 2030년까지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제로 연료를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해운사들은 2040년까지 모든 선박을 재생연료로 100% 가동하겠다고 약속했다. 

해운 산업이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금 조달이 관건이다. 하나은행 산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5일 발간한 보고서 ‘글로벌 녹색금융 확대에 따른 해양금융의 변화’에서, 해운산업에서 녹색 금융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김종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해운업이 활황으로 해양금융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ESG의 확산으로 해외 선주는 녹색금융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탄소중립사회 전환 비용...‘그린 프리미엄’

COP26 참가국은 금세기 ‘중반’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합의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전략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현할 비용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문제도 중요하다.

‘그린 프리미엄’이라는 이 전환 비용을 두고, 최근 세계최대 해운회사 머스크(Maersk)의 소렌 스쿠 최고경영자와 빌 게이츠 회장이 벌인 논쟁이 이 문제를 보여준다. 

소렌 스쿠와 빌 게이츠는 지난 9월 에코스페리티 위크 행사에서, ‘그린 프리미엄’을 산업이 자체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가’하는 의제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 소렌 스쿠는 “그린 프리미엄을 부담할 고객이 충분히 있다”며 산업 자체 조달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냈고, 빌 게이츠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린 프리미엄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제품을 생산, 공급, 소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세계는 탄소중립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그린 프리미엄을 누가 얼마나 감당할 것인가라는 논제를 두고, 이를 전환 리스크로 보기도 한다. 

 

해운산업 ‘그린 프리미엄’ 자금 조달...녹색금융시장 확대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해운산업은 그린 프리미엄을 조달할 녹색금융 자본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김종현 연구원은 “EU는 120억 유로(16조 2686억 원)의 녹색 채권(2037년 만기)을 발행하고, 26년까지 매년 350~450억 유로(47조 4502억 원~ 61조 74억 원)규모의 녹색 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김 연구원은 “EU의 녹색금융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와 해운·조선업 활황으로 금융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양금융 내 녹색금융 논의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종현 연구원은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대기 오염물질 저감을 목적으로 해운업 대상 환경 규제를 실시하고, 해외 선주와 해양금융 취급 금융기관이 녹색금융·지속 가능성 연계 금융에 참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으로 해외 선주들의 녹색 대출은 약 89억 5000만 달러(10조 5852억 원), 녹색 채권은 약 19억 7000만 달러(2조 3299억 원)를 기록했다.

BNP 파리바, 씨티은행, HSBC 등이 가입한 포세이돈 원칙에는 글로벌 금융기관 27곳이 가입했는데, 해당 기관의 선박금융 비중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세이돈 원칙이란 2019년 해양금융에 참여하는 일부 은행 간에 자발적으로 출범한 협의체로서, 해운 산업의 탄소 저감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해운업 대출 결정 시 기후변화 변수를 고려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김 연구원은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이 탈탄소를 위한 해운 투자에 최대 1조 5000억 달러(1774조 500억 원)가 필요하다고 추정하는 것만 봐도 해양금융 시장 내 녹색금융 수요는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김종현 연구원은 “최근 국내 해운사의 500억 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 공모에 4000억 원 이상의 자금이 모이는 등 시장에서 녹색채권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난다”면서 “국내 금융사는 ESG 평가의 글로벌 스탠다드 준수, 포세이돈 원칙 가입 등을 통해 기후변화 글로벌 공조 확대에 대한 준비와 대응전략 마련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