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전기차 배터리 관련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우선, 지난해 연말 유럽 자동차기업이 애타게 기다려온 스웨덴의 배터리기업 ‘노스볼트(Northvolt)’가 첫 배터리를 완성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로이터통신과 FT 등 외신은 29일(현지시각) 노스볼트가 스웨덴 북부의 스켈레프테아의 기가팩토리에서 최초의 배터리셀을 생산했다고 밝혔다. 노스볼트는 폭스바겐, BMW, 볼보, 이케아 등 헤비급 글로벌 기업의 자금 지원을 받는 유럽 배터리계의 ‘떠오르는 강자’다.
폭스바겐은 노스볼트의 지분 20%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2016년 10월 테슬라 임원 출신인 피터 칼슨이 공동 대표 3명과 함께 설립했으며, 2019년 5월 유럽투자은행(EIB)로부터 4700억 원, 6월에는 BMW, 폭스바겐, 골드만삭스로부터 약 1조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FT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지난 6월 마지막으로 자금을 모았을 때 120억 달러(14조원)로 평가받았으며, 자동차제조사들로부터 300억 달러(35조원) 어치의 주문을 받았다. 노스볼트는 “일본 파나소닉, 중국 CATL, 한국 LG와 SK, 삼성 등의 의미있는 경쟁자가 되기 위해 유럽만이 아니라 아시아, 북미도 바라보고 있다”고 FT에 밝힌 바 있다. LG와 CATL은 각각 폴란드와 독일에 배터리공장을, SK는 헝가리 공장을 증설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럽 시장 내 배터리 격돌이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다.
관련기사
- 포르투갈 리튬, 유럽 전기차 혁명의 주인공 될까?
- 전기차 배터리 필수 원자재 리튬 확보전 '활활'
- RMI, TDi와 함께 광물 공급망 플랫폼 론칭
- 공급망 재편, 탄소감축기술, SMR...전경련, 차기정부 정책과제로 제시
- 탄소중립 시대, '코발트' 볼모로 콩고선 식민지 재현 중
- 섬유와 자동차 공급망 넷제로는 왜 다른가...BCG보고서
- 광물 심해 채굴 규칙 2023년까지 마무리 안 될 듯
- KOTRA 보고서,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은?
- 일본 그린 GDP 3월말 발표한다... 기시다 총리의 구상은?
- 스텔란티스 그룹,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토리노에 순환경제 거점 건설
박란희 chief editor
admin@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