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자산이 최근 급격히 늘었고,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는 지난 4일(현지시각) 전세계 ESG 자산의 동향을 조사해서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ESG 관련 자산이 현재 35조 달러(4경 1930조원)에서 올해 말에 41조 달러(4경 9109조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블룸버그는 ▲전체 자산 규모 ▲지속가능 채권과 대출 ▲뮤추얼 펀드와 ETF ▲자산운용사의 수수료 수익의 측면에서 글로벌 동향을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뮤추얼, 자산운용사는 모닝스타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세계적인 투자 분석기관인 모닝스타는 지난 1월 31일(현지시각) ‘글로벌 지속가능 펀드 흐름’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21년 4분기를 기준으로 글로벌, 유럽, 미국, 캐나다, 호주와 뉴질랜드, 일본, 일본 외 아시아로 구분하여 지속가능성 펀드의 동향을 설명했다.
모닝스타는 2021년 4분기에만 1425억 달러가 새롭게 지속가능성 투자 유니버스에 유입됐다고 밝혔다. 이는 3분기 유입량인 1274억 달러 보다 12%가 늘어난 수치다. 모닝스타는 아시아 지역을 일본과 일본 외 국가로 구분한 이유는 지속가능성 자산이 크게 차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월마트도, 버라이즌도...그린워싱 논란에도 녹색채권 발행은 는다
- 에넬(Enel)사의 지속가능연계채권은 왜 ESG채권 특성에 더 부합할까?
- 녹색채권보다 더 인기? 지속가능 채권의 급성장 이유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발전4사+한전의 ESG 채권 발행은 다크그린(Dark green)
- 【2021 ESG를 보는 눈】 "남들보다 1년 먼저 ESG 채권 준비한 이유" 미래에셋 신재훈 채권운용본부장
- 유럽 최대 전력회사 에넬, 녹색 전환 위해 210조 투자 발표
- 중국·일본 제치고 ESG 채권 우두머리 된 한국
- 【줌인 ESG ③】특수목적 채권 그린본드(Green Bond), 키워드는 '신뢰'
- "이것도 녹색채권?"...환경부 “K-텍소노미 기준 마련하겠다”
- ICMA, 지속가능연계채권 원칙 발표
- 블랙록, 이사회 퀄리티와 효율성을 스튜어드십 우선순위로
- DWS 내부고발자 데지레 픽슬러의 경고, “ESG를 부정행위 가리는 용도로 사용하지 말라”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