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클라이언트 어스 등 환경단체들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친환경으로 분류한 택소노미에 대해 재고할 것을 요청했으며,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유럽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픽사베이
그린피스, 클라이언트 어스 등 환경단체들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친환경으로 분류한 택소노미에 대해 재고할 것을 요청했으며,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유럽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픽사베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친환경’으로 표기한 택소노미(Taxonomy, 친환경 분류체계)에 대해 메이저 환경단체 두 곳으로부터 법적 도전에 직면했다고 19일(현지시각) FT가 밝혔다. 

대표적인 환경캠페인 단체인 그린피스, 이와는 별도로 클라이언트어스(Client Earth) 및 WWF(세계야생기금)를 포함한 별도의 환경단체연합은 “EU 기후법과 양립할 수 없는 ‘가짜 녹색(fake green)’ 라벨을 적용한 결정에 대해 법적 검토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EU의 택소노미는 2050년까지 넷제로, 즉 온실가스 순배출량만큼 이를 거둬들여 제로(0)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난 2020년 만들어진 ‘친환경 분류체계’를 가리킨다. 당초 EU의 택소노미에는 천연가스와 원자력이 포함되지 않았으나, 최종 통과된 법안에는 조건부로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포함시킨 바 있다. 

이에 대해 클라이언트 어스를 포함한 환경단체들은 “유럽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고, 유럽 전역에 높은 에너지가격을 초래한 강력한 화석연료인 천연가스에 녹색 라벨을 붙일 수 없다”며 문제삼고 있다. 

반면, 그린피스는 원자력과 관련된 위험요소 때문에 택소노미를 반대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그린피스의 EU 지속가능금융 캠페이너인 아리아드나 로드리고(Ariadna Rodrigo)는 FT와의 인터뷰에서 “천연가스는 기후 문제와 경제적 혼란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인 반면, 원자력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해결책도 아직 없을 뿐만 아니라 원전 사고의 위험성은 무시할 수 없을만큼 크다”고 밝혔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