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의 ESG 공시 의무화가 1년여 밖에 남지 않은 글로벌에서는 현재 ESG 데이터 포털 허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여기저기서 벌어지고 있다.
기업 기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원 플래닛 데이터 허브(One Planet Data Hub)’가 2023년 출범을 알리며 31일(현지시각) 관련 권고안을 담은 백서를 발표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블룸버그 회장 마이클 블룸버그는 올해 초 기업의 기후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데이터 라이브러리가 완성되면 유엔(유엔 FCCC)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책임투자미디어 RI가 밝혔다.
이 이니셔티브에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유럽의 재무공시 의무화 작업을 주도하는 EFRAG(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녹색금융을 위한 각국 중앙은행 및 감독기구 협의체인 NGFS(녹색금융협의체) 등 수많은 주요 규제기관과 표준설정 기관들이 이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는 운영위원회에 포함돼있다.
또 무디스, 모닝스타, S&P, MSCI 등 글로벌 주요 ESG 데이터 제공업체들도 포함되어 있다.
관련기사
- 세계은행의 승부수, 탄소배출량 분석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 나스닥 원리포트, 개정 GRI 인증 획득한 최초의 ESG 소프트웨어
- ESG Book, 5년간 ESG 점수 높은 기업의 주식형 펀드 추적해보니...
-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하는 ESG북, 1만개 데이터 액세스
- ISS ESG, 6100곳의 기업 ESG 점수와 등급 공개하는 포털 오픈
- 유럽은행들, 2024년부터 기후정보 의무 공개... 공통 기준 나왔다
- "ESG 정보 한눈에" 한국거래소 ESG 포털 오픈... 다른 나라는?
- ESG계 ‘스포티파이’ 떴다... 무료 ESG 데이터 플랫폼 개장
- 구글, SB 에너지와 약 1GW의 태양광에너지 공급 계약 체결
- IEA, 조만간 화석연료 사용 정점… 신재생에너지 역할 커질 거란 전망 나와
- CDP, ISSB 기후 공시 기준을 자사 플랫폼에 통합
- KCGS, 국내기업 TCFD 연계 공시 '거버넌스 강화해야'
- COP에 불신 가진 전 세계 설득 나선 UAE
- 후즈굿(Who’s Good), 국내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통합솔루션(SCRM)
박란희 chief editor
admin@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