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마무리된 G7 정상회의. 주요 기후 및 산업 이슈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G7 Hiroshima Summit
지난 21일 마무리된 G7 정상회의. 주요 기후 및 산업 이슈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G7 Hiroshima Summit

지난 20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진행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지난 21일 마무리됐다. 각국은 기후·산업과 관련된 주요 목표에는 합의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접근법에서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탄소중립 결의안 합의 이후에도 탄소 배출을 일정 기간 용인하는 방안이 적합한지를 두고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번 G7 정상회의에선 AI·전기차(EV) 등 주요 산업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특히 리튬은 EV 산업 유지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사용되면서 수요가 급증해 수급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행정부는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을 통해 리튬, 코발트, 니켈, 흑연 등 광물 자원 확보를 위해 여러 국가와 무역협정을 추진하고 있다. 

IRA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EV에 대해서만 보조금을 지급하는데,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광물 중 40% 이상을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가 체결한 국가의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유럽 국가들은 넷제로 산업법을 만들어 IRA에 맞서 광물 수급에 나선 상황이다. 

 

EVㆍAI 등 주요 산업에서의 쟁점은?

이번 G7 정상회의에선 EV와 함께 AI 기술 규제 방안도 도마 위에 올랐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향후 인공지능(AI) 기술 부문의 신뢰할만한 글로벌 표준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에 입을 모았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G7 정상들은 AI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그에 맞는 관리 체계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G7 정상들은 성명을 통해 ‘AI 기술의 공통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접근법 측면에선 입장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지만, 민주주의 가치에 부합하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규칙이 필요하다’는 점에 합의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EU에선 지난 2021년 'AI법'이 제출돼 Ai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진행됐다./ EU AI Act
EU에선 지난 2021년 'AI법'이 제출돼 Ai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진행됐다./ EU AI Act

이번 AI 기술 관련 글로벌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합의는 유럽연합(EU)의 역할이 컸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EU에선 지난 2021년 4월 ‘AI 법(The AI Act)’이 발의됐는데, 이는 전 세계 최초로 AI 기술을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법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평가했다. EU의 AI 법이 선례로서 이번 G7 정상회의 합의에도 도움을 줬다는 분석이다. 

EU 우르줄라 폰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집행위원장은 “AI 시스템은 어디에서 개발했는지와 무관하게 정확하고 믿을만하며, 안전하고, 차별이 없어야 한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G7 정상들이 인공지능 챗봇인 챗(Chat)GPT의 등장 이후 생성형 AI가 마주한 기회와 과제를 당장 검토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 'AI 기술 성장 멈추고 관리책 마련이 우선'

G7 정상들 외에도 지난 3월에는 테슬라(Tesla)의 CEO인 일론 머스크(Elon Musk)와 AI 전문가들이 공개서한을 통해 챗GPT의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공개서한에는 ‘아직 AI 기술은 잠재적으로 사회에 위험이 될 수 있어, 향후 6개월간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후 EU 의회에서도 ‘AI 기술이 예상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전 세계 지도자들은 AI 기술을 관리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편 미국은 AI 기술 관리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은 ‘AI 기술의 위험성 여부는 향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OpenAI의 CEO인 샘 알트먼(Sam Altman)은 지난 16일 미 상원 법사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미국 정부가 AI 모델 개발을 위한 라이센스나 테스트 요구 사항을 제시하도록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AI 기술에 대한 규제 방안을 두고 G7 정상들은 향후 ‘히로시마 AI 프로세스’라는 별도의 장관 회의를 만들어 저작권이나 허위정보 등 생성형 AI를 둘러싼 문제에 관해 논의를 계속하기로 합의했다. 당장 EU와 미국은 오는 30일부터 31일까지 양일간 스웨덴에서 열리는 무역기술위원회에서 재차 신규 기술 규제·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로이터통신은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