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각)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술 허브(Tech Hub) 31개를 지정했다고 CNBC가 보도했다.
백악관은 각각의 기술 허브가 4000만 달러(약 536억원)에서 7500만 달러(약 1006억원)의 보조금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 허브의 지정은 "중요한 기술 생태계를 강화하고 향후 10년 동안 글로벌 리더가 되려는 지역의 계획을 강력히 지지하는 것"이라고 미국 상무부 산하 경제개발청(EDA)은 웹 사이트에서 밝혔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가 반도체법(CHIPS)와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승인됐다고 밝혔다. 2022년 8월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이 법안은 미국의 반도체 제조 및 공급망 개선을 목표로 하며, 미 전역의 기술 허브에 100억 달러(약 13조원)를 투자하도록 승인했다.
기술 허브는 양자 컴퓨팅, 인공 지능(AI), 청정 에너지, 의학 및 생명 공학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술 분야에 중점을 둔다. 미국 경제개발청(EDA)에 따르면, 기술 허브의 위치는 32개 주와 미국령인 푸에르토 리코에 걸쳐 있으며 원주민 거주 지역, 석탄 공동체 및 인구가 적은 주도 포함되어 있다.
기술 허브의 지정은 미국 49개 주와 4개 미국령에 걸쳐 370개 이상의 지원자 중에서 선정되어 미국의 다양성을 대표하도록 선정됐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술 허브로 지정된 지역에 제공되는 혜택은 크게 4가지라고 밝혔다. 즉, ▲향후 기술 허브 구현 자금, 경제 개발청 자금 지원 기회, 미국 재무부의 주 중소기업 신용 이니셔티브(SSBCI) 프로그램 등 연방 정부 전반의 후속 자금에 대한 접근성 제공 ▲미국 교통부, 미국 농무부, 중소기업청과 같은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독점적인 기술 허브 브랜드에 접근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수출 시장 접근 지원 ▲지적 재산 문제에 대한 기술 지원 및 프로그램 지원 등이다.
31개 기술 허브를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툴사 허브(Tulsa Hub for Equitable & Trustworthy Autonomy)는 오클라호마주의 농업 및 파이프라인 검사부터 지역 운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 사례를 위한 자율 시스템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2. 오션 기술 허브(Ocean Tech Hub)는 매사추세츠주와 로드아일랜드주는 새로운 해양 인공 지능과 기계 학습 지원 로봇 및 센서를 개발, 테스트 및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3. 헤드워터스 허브(Headwaters Hub)는 몬타나주의 산업 제조와 같은 복잡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스마트 기술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4. 엘리베이트 퀀텀 콜로라도(Elevate Quantum Colorado)는 콜로라도주에서 양자정보기술(QIT) 분야에서 이 지역의 글로벌 리더십을 공고히 하여 인프라 탄력성을 높이고 양자 하드웨어 공급망을 강화한다.
#5. 블로흐 기술 허브(Bloch Tech Hub)는 일리노이주, 인디애나주, 위스콘신주에서 양자 컴퓨팅, 통신 및 관련 솔루션을 선도한다.
#6. 첨단 의약품 제조 기술 허브는 버지니아주에서 미국 기반 첨단 의약품 제조 산업의 성장, 혁신 및 지속 가능성을 가속화하여 혁신적인 하이브리드 및 지속적인 의약품을 통해 안전하고 저렴한 의약품을 재판매하는 것이 목표다.
#7. 리젠 밸리 기술 허브(ReGen Valley Tech Hub)는 뉴햄프셔주에서 만성 질환 및 장기 부전을 해결하는 비용 효과적인 재생 치료법을 생산하기 위해 뉴햄프셔를 바이오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만드는 것이 목표다.
#8. iFAB 기술 허브는 일리노이주에서 활용도가 낮은 옥수수 공급 원료를 고부가가치 맞춤형 대체 단백질, 식품 성분, 재료, 화학 물질 등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밀 발효 규모의 확대가 목표다.
#9. 캔자스시티 포괄적 생물의약품 및 생물제조 기술 허브는 캔자스주 동부와 미주리주 서부를 생물제제 및 생물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백신 및 기타 예방 기술의 미국내 생산을 늘리는 것이 목표다.
#10. 하트랜드 바이오웍스(Heartland BioWorks)는 인디애나주에서 생명을 구하는 의약품을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지역의 역량을 강화하여 인디애나 중부를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11. PRBio 기술 허브는 푸에르토리코에서 차세대 생명공학 및 의료기기의 발견, 개발, 제조 및 공급을 가속화하여 이 지역을 생명공학의 글로벌 리더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12. 위스콘신 바이오헬스 기술 허브는 위스콘신주를 맞춤형 의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다.
#13. 볼티모어 기술 허브는 메릴랜드주에서 생명공학에 인공지능을 적용해 혁신적인 예측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한다.
#14. 버밍햄 바이오테크놀로지 허브(Birmingham Biotechnology Hub)는 알라바마주에서 인공지능 기반 생명공학을 적용하여 임상 게놈 데이터 및 임상 시험의 대표성을 높여 약물, 백신 및 진단 개발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15. 광역 필라델피아 지역 정밀 의학 기술 허브는 펜실바니아, 델라웨어, 메릴랜드, 뉴저지주에서 정밀 의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16. 미네소타 의료기술 허브 3.0(Minnesota MedTech Hub 3.0)은 미네소타와 위스콘신주에서 인공 지능, 기계 학습 및 데이터 과학을 통합하여 미네소타를 "스마트 의료 기술"의 글로벌 센터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다.
#17. 걸프 루이지애나 해상 풍력 프로펠러는 루이지애나주의 에너지 경제를 석유 및 가스에서 해상 풍력 및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18. 원자력 에너지 기술 허브는 아이다호주와 와이오밍주를 소형모듈식원자로(SMR) 및 첨단 원자력 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여 청정 에너지 미래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19. 사우스캐롤라이나 넥서스 복원력있는 에너지 기술 허브(SC Nexus for Advanced Resilient Energy)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주와 조지아주에서 전기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하고 적용함으로써 첨단 에너지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20. 사우스 플로리다 기후 복원력 기술 허브 글로벌 기후 위기에 대한 지속 가능하고 복원력 있는 인프라(SRI) 솔루션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21. 배터리 기술 허브는 뉴욕주에서 전체 가치 사슬에 걸쳐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제조 강화가 목표다.
#22. 네바다 리튬 배터리 및 기타 EV 재료 루프는 네바다주에서 추출, 처리, 제조 및 재활용을 포괄하는 자립적이고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전체 리튬 수명주기 클러스터의 구축이 목표다.
#23. CM2AE(고급 에너지를 위한 중요 광물 및 재료) 기술 허브는 미주리주 중남부를 중요 광물 처리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여 배터리 기술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24. 텍소마 반도체 기술 허브(Texoma Semiconductor Tech Hub)는 텍사스주와 오클라호마주에서 인력 확장을 통해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소외된 지역 사회를 향상함으로써 기존 및 계획된 반도체 공급망 인프라를 통합하는 것이 목표다.
#25. 코밸리스 미세유체 기술 허브(Corvallis Microfluidics Tech Hub)는 오레곤주에서 반도체 및 전자 냉각에 사용되는 미세유체 기술의 개발, 확장 및 상용화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립하는 것이 목표다.
#26. 뉴욕 스마트 기술 허브(NY SMART I-Corridor Tech Hub)는 뉴욕주에서 지역 반도체 제조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외된 지역사회에 경제적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목표다.
#27. 질화갈륨 기술 허브는 버몬트주에서 무선 통신에 중요한 재료 기술인 질화갈륨(GaN) 제조 혁신을 목표로 한다.
#28. 지속가능한 폴리머 기술 허브(Sustainable Polymers Tech Hub)는 오하이오주에서 지속 가능한 폴리머 제조 및 상업화를 가속화하여 고무와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기후 및 환경 영향을 해결하는 것이 목표다.
#29. 산림 바이오제품 고급 제조 기술 허브는 마인주에서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생물학적 구성 요소 추출 프로세스를 혁신함으로써 산림 기반 바이오 물질 생산 및 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30. 미국 우주항공 자재 제조 기술 허브(American Aerospace Materials Manufacturing Tech Hub)는 워싱턴주와 아이다호주에서 첨단 복합 항공기 구조의 고속 생산에 대한 즉각적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미국내 공급망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31. 태평양 연안 북서부 대량 목재 기술 허브(Pacific Northwest Mass Timber Tech Hub)는 오레곤주와 워싱턴주에서 건설 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낮추고 주택 가격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량 목재 설계 및 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이 목표다.
- 반도체 산업, 탄소중립 어떻게 이루나…탄녹위 컨퍼런스 개최
- 미국 하원, 미국 경제 지표 급성장에도 기후 예산 삭감 법안 통과시켜
- 美, 멕시코만에 새로운 풍력 에너지 지역(WEA) 확정
- 세계 최초의 ‘AI안전서밋’, 영국에서 열려
- AI 기반 ESG 데이터 수집 스타트업 ESG플로, 525만 달러 유치... SEC와 CSRD 솔루션 제공
- 미시간주, 미국서 가장 야심찬 청정 에너지 법안 통과
- 캘리포니아주, AI로 태양광 설치허가 11개월 앞당겨
- EU의회, 소형모듈원전(SMR) 지지 표명
- 美 칩스법 본격적으로 실행되나? 마이크로칩 테크, 두번째 보조금 대상 선정
- 영국, SMR 위해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에 5000억 이상 투자
- 미국 조지아주, 신규 12GW 태양광 계약으로 안티ESG 멈춰
- 인텔 SBTi 검증 안 해…화석연료 의존도 문제 지적
- 미 에너지부, 탈탄소화 기술에 3400억원 투자
- 재생에너지 근로자 4명 중 1명, 급여 올랐다… AI 등 첨단 분야 임금 상승 가팔라
- AI 업계, 원자력 규제 완화 요구…"전력 수급 해결하려면 더 확대해야"
- 미국, 대선 앞두고 산업 탄소감축에 8조원 투자… 엑손모빌도 4000억원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