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집행위원회가 7일(현지시각) 기업 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에 대해 기업들이 자주 묻는 질문(FAQ)에 대한 답변을 내놓았다. 문서에는 CSRD의 적용 범위와 일정, 면제, 지속가능성 공시표준(ESRS) 세트 등에 관한 90개의 질문과 답이 담겼다.
FAQ는 크게 섹션 3과 4에서 각각 EU기업과 비EU기업에 적용되는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질문은 크게 적용 대상, 보고서 형식, 감사 및 검증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집행위는 기업의 행정 부담을 줄이고 공시 이행이 용이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해당 문서를 공개했다고 전했다. 금융서비스 담당 집행위원인 마이어드 맥기네스는 “현재 우리는 기업의 행정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도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FAQ는 기업이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외부 법률 또는 컨설팅 서비스를 받을 필요성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도 해당 제도에 관한 질의 응답을 담은 설명 자료들을 발간하고 있지만, 법의 해석은 집행위의 영역으로 남겨져 있어 ESG 실무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질문과 답변은 이곳에서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 ESRS 도입 초기 단계의 실태와 과제…EFRAG 보고서
- ESMA, CSRD 준수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 IT 시스템 마련해야
- EU 택소노미, 기업 자본 투자의 약 20% 연관...자본시장 내 활용도 높아져
- EU 지속가능성 공시기준(ESRS) 대응, 궁금증 7문7답
- ESRS 대응 어떻게 하나…유럽 현직자들의 생각은?
- EU의회 및 이사회, EU 재무·ESG정보 통합 플랫폼 'ESAP'설립 잠정 합의
- EU, 재무정보와 ESG정보 통합 전자공시시스템 'ESAP' 설립한다
- 부동산 투자도 ‘지속가능성’ 고려해야… 지속가능성 메가트렌드 보고서
- ESG 검증도 '빅4'가 지배한다…FTSE 100 ESG 검증 63% 차지
- 유럽증권시장감독청, 지속가능성공시(CSRD) 감시 강화 시사
- EU기업 91%, 택소노미 적격 공시했으나...검증은 40%에 그쳐
- EU, 중소기업 ESG 공시기준 간소화...기업 부담 줄인다
-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 CSRD 지침에 제동 걸다
- EU 택소노미, 간소화 초안 발표...규제 완화 아닌 효율화
- 【특집】2025 국내기업 ESG 분위기는?...조직, 예산 축소, CSRD 및 CSDDD 대응에만 집중
- 독일에 이어 프랑스, ESG 공시 기준 완화 촉구
- ISSB, EU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SRS)에 IFRS기준 활용 제안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