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투자 전문 언론 RI(Responsible Investor)에 따르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에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SRS)과 IFRS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간의 상호부합성을 높이기 위한 권고안을 제시했다.
이는 EU 집행위원회의 CSRD 요건 간소화 움직임 가운데 나온 제안이다. ISSB는 “지속가능성 공시를 간소화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기준과의 상호부합성을 강화하면 기업의 공시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ISSB, ESRS에 단일 중대성 사용 권고…공시 트렌드 바뀔까
ISSB의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과 ESRS의 주요 차이점은 중대성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다. 이중 중대성은 지속가능성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기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반면, 단일 중대성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재무적 측면에서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공시해야 한다는 접근법이다.
관련기사
- EU, 중소기업 ESG 공시기준 간소화...기업 부담 줄인다
- ESG공시 기준 간 상호운용성 강화…CDP·EFRAG, 내년 초 매핑 지침 공개
- EU 집행위원회, 지속가능성 공시 지침(CSRD) 자주 묻는 질문(FAQ) 공개
- EU 택소노미, 간소화 초안 발표...규제 완화 아닌 효율화
- IIGCC·Eurosif·PRI, EU ESG 규제 후퇴 반대…“보고 의무는 투자 결정에 필수”
- ISSB, 투자자들 인적자본·생물다양성 정보 수요 높아…S3·S4 공시 기준 준비 중
- TNFD, 기업 대상 자연공시 교육 플랫폼 출시… 글로벌 공시 의무화 대비
- 日, ISSB 기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발표
- 알리안츠, 첫 CSRD 준수 보고서 공개... 지속가능 투자 7조원 늘려
- ESG 공시 한번에...CDP-EFRAG, 기후 정보 매핑 도구 출시
- 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채택 위한 ‘로드맵 툴’ 공개
- 기후변화, 실물경제 충격 본격화…글로벌 기업들 자산가치 조정 나섰다
- ISSB, 자연 공시 기준화 착수…TNFD 권고안 공식 반영
- IFC, 4.5조달러 신흥시장 투자 기준 16년 만에 손본다…FI 리스크도 반영
- 캐나다, 기후·다양성 공시 의무화 보류… “시장 신뢰 훼손” 우려
- IFRS, 라틴 아메리카 공략… ESG 공시 기준 ‘국제 규범화’ 가속
- GRI, “ESRS 항목 30% 축소 가능”…EFRAG에 간소화 제안서 제출
- ISSB,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에 대한 지침 발표
- IFRS 재단, ISSB 공시 기준 안내하는 e러닝 모듈 4종 무료 공개
-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SASB 산업별 공시기준 개정 초안 공개
- 유럽지속가능성보고기준(ESRS) 간소화 자문안, 마감 기한 한 달 연장
송선우 editor
dustin93@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