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가능한가
탄소중립의 달성을 위하여 전체적인, 그리고 각 부분에서 탄소 감축 추세가 면밀히 감시되어야 하나, 동시에 여러 가지 영역에서 관심을 가질 것들이 있다. 본서에서 이러한 다양한 영역과 이슈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탄소중립 경제의 달성을 위해서는 자금과 기술의 효율적 공급이 중요하다. 녹색금융내지는 기후금융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수단들이 연구되고 있다. 녹색채권과 관련된 논의들, 그리고 탄소배출권 시장의 중심 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다. 녹색금융은 공적금융, 민간금융, 그리고 탄소시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정부의 힘으로, 민간금융기관의 역할에 의하여, 그리고 탄소배출권의 거래를 통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각종 산업과 기술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은 기후창업의 활성화에 의해서도 촉진될 수 있다. 창업에 의한 경제 발전 촉진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이는 탄소중립 경제 달성을 위해서도 의미있는 일이다. 탄소중립은 기본적으로 에너지의 전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하여 누가 지배력을 갖는가는 향후 세계 정치경제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탄소 감축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 특히 개도국에서 감축실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에 국외감축의 의미와 사례에 대하여도 본서에서 다루고 있다. 탄소절감 압력은 요즘 중요하게 여겨지는 ESG의 한 분야이기도 하며, 이러한 외부압력에 대하여 그린워싱에 대한 경계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분야이다. 기업들의 탄소절감 정보의 외부공시가 중요해지며, 회계정보의 생산에서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혁명과 관련하여 디지털기술에 의한 탄소중립 달성 방안에 대하여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기업들 중에서 탄소중립을 위하여 가장 역할이 기대되는 포스코의 사례도 포함되었다.
저자소개(탄소중립 지속성장연구회)
김도희 앤에이솔루션(주) 대표
김윤희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산업자원분석과 경제분석관
김주태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희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담당(전무)
노태우 한양대학교 국제학부/글로벌기후환경학과 부교수
박상욱 국립공원공단 경영정책자문위원
오대균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탄소시장감독기구 위원
임현정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창업벤처녹색융합클러스터운영단장
장항진 한국채권투자운용 본부장/전무
정준영 (주)다미 창업인베스트먼트 창업지원 총괄
진익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장
한오섭 TOMRA KOREA 대표
허규만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One ESG 서비스그룹 파트너
형경진 (주)블리스바인벤처스 대표
홍성준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ESG 신간】우리에게 내일이 없더라도 / 쓰레기의 세계사 / 살아서 지옥을 볼 것인가
- 【ESG 신간】ESG 코드 / 파타고니아 인사이드 /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1.5도 이야기
- 【ESG 신간】Road to RE100 / 물의 세 시대 / 재앙의 지리학
- 【ESG 신간】ESG 정보공시와 공급망 실사
- 【ESG 신간】습지에서 지구의 안부를 묻다 / 북극곰 생존 프로젝트
- 【ESG 신간】나방의 눈보라
- 【ESG 신간】네이처 포지티브 / 첫 번째 기후과학 수업 / 소비하는 인간, 요구하는 인간
- 【ESG 신간】ESG 도전과 응전
- 【ESG 신간】1.5도 이코노믹 스타일 / ESG는 인식이고 책임이며 실천이다
- 【ESG 신간】기후, 기회/ 실제 ESG 공시 이것만은 알자
- 【ESG 신간】뜨거운 지구, 차가운 해법
- 【ESG 신간】EU 수출 기업을 위한 공급망 실사 지침 가이드북
- 【ESG 신간】일회용 지구에 관한 9가지 질문
- 【ESG 신간】당신이 모르는 진짜 농업 경제 이야기
- 【ESG 신간】카오스, 카오스 에브리웨어
- 【ESG 신간】거의 모든 것을 망친 자본주의
- 【ESG 신간】ESG 101 : 이론과 실제 / 몸이 기후다 / 이번 생은 초록빛
- 【ESG 신간】노르트스트림의 덫 / 뉴 노멀 ESG
- 【ESG 신간】대한민국 탄소중립의 현실과 미래
- 【ESG 신간】액트 나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