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 자체 규정 무시하며 '깜깜이 협의' 강행 지적
- 중소기업 보호 내세웠지만...참여 기업 31곳 중 4곳만 중소기업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6일(현지시각) 규제 간소화 정책, 일명 옴니버스 패키지에 대한 비공개회의를 진행하자 유럽의 기업들과 투자자에 이어 비영리 단체의 비판까지 받게 됐다.
유럽의 시민단체 유럽기업정의연합(European Coalition for Corporate Justice, 이하 ECCJ)은 같은 날 성명을 통해 옴니버스 패키지로 규제가 완화되어 생길 문제뿐만 아니라 절차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ECCJ는 옴니버스 패키지 도입에 반대하는 ‘NoToOmnibus’ 캠페인을 운영 중이며, 170여 명의 비영리단체 활동가가 참여하고 있다. 글로벌 책임투자자 이니셔티브인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에 따르면, 집행위는 오는 26일(현지시각) 옴니버스 패키지의 개정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EU, 자체 규정 무시하며 '깜깜이 협의' 강행 지적
관련기사
- EU, CBAM 대상 기업 80%에게 탄소 국경세 면제 고려
- IIGCC·Eurosif·PRI, EU ESG 규제 후퇴 반대…“보고 의무는 투자 결정에 필수”
- EU, ‘경쟁력 나침반’ 발표…혁신·탈탄소화·공급망 안보
- 독일에 이어 프랑스, ESG 공시 기준 완화 촉구
- EU 택소노미, 간소화 초안 발표...규제 완화 아닌 효율화
- EU, 중소기업 ESG 공시기준 간소화...기업 부담 줄인다
- EU 청정산업딜, 보조금 단순화·PPA 활성화·에너지 비용 완화 추진
- EU, CSRD 개정에 입장 차이...독일은 이중 중요성 두고 내홍
-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대폭 완화 추진
- EU, 탄소국경세 대상 기업 대폭 면제 초안 공개
- EU, 옴니버스 패키지 발표…CSRD 대상 기업 80% 제외
- 유럽 금융권, CSRD간소화 놓고 갑론을박
- EU 옴니버스 제안에 대한 업계 반응, 중소기업은 웃고 NGO는 반발
- 유럽 보수정당 EPP, '그린 클레임 지침' 철회 공식 요구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