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화학산업협회(CEFIC)가 EU 환경규제 강화로 화학기업들이 연간 200억달러(약 28조원) 이상의 비용 부담 위기에 처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는 18일(현지시각) CEFIC의 보고서를 인용, 다우(Dow)와 라이온델바젤(LyondellBasell) 같은 기업들은 수요 부진과 높은 원자재 비용, 증가하는 규제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 내 사업 구조를 재검토하고 일부 시설을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EU 규제 강화가 글로벌 화학기업의 구조조정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화학물질의 규제 대상 목록이 추가될 전망이다. / chatgpt 이미지 생성
화학물질의 규제 대상 목록이 추가될 전망이다. / chatgpt 이미지 생성

 

규제 준수 비용 급증으로 화학산업 구조조정 불가피

CEFIC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내 화학 기업들의 자본 지출 중 최대 10%가 규제 준수에만 사용되고 있다. 독일 화학 대기업 바스프(BASF)는 로이터에 보낸 성명을 통해 EU의 화학물질 규제(REACH) 관련 문서 작업을 관리하기 위해 전담 직원 250명을 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재정적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환경 비영리 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917개 기업 중 73개 기업만이 탄소배출권 구매를 보고했음에도 해당 비용은 13억2000만유로(약 2조1300억원)에 달했다.

화학 제조업체 셀라니즈(Celanese)는 CDP 보고서를 통해 무상 할당제 폐지로 연간 1000만~1200만달러(약 142억~171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유럽 화학산업이 직면한 재정적 압박의 일부에 불과하다.

 

탄소배출권 정책 변화와 미국 관세로 화학기업 부담 가중 예상

로이터는 산업 애널리스트들과 CEFIC가 EU가 탄소배출권 무상 할당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규제 대상 화학물질 목록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무상 할당제는 원래 규제로 인한 산업 충격을 완화하고 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이었으나, 이제는 실질적인 배출량 감축을 촉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러한 조치들로 화학기업들이 추가적인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탄소집약적 공정을 사용하는 기업들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여기에 다가오는 미국의 관세 부과는 시장을 더욱 교란시킬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는 "생산업체들이 수입 비용을 피하기 위해 생산시설을 이전하거나 미국 내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전략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화학기업 PPG의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총괄 사장 페드로 세렛-살바트(Pedro Serret-Salvat)는 "제안된 규제 변화로 인해 대체재가 없는 주요 원자재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 우려사항"이라고 지적했다. 

모닝스타 수석 애널리스트 세스 골드스타인(Seth Goldstein)은 "역사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EU에서 추가적인 화학물질 금지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화학업계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