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에 따른 역내 수출 기업의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7000만유로(약 1163억원) 규모의 보상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무상 배출권 할당의 단계적 폐지로 인한 수출 경쟁력 저하를 보완하고, 생산기지의 역외 이전(탄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CBAM 수익 중 일부를 수출기업에 환급하는 방식의 보상제도 초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2025년 말까지 관련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EU는 해당 제도를 통해 CBAM 제도하에서도 역내 기업의 수출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EU는 2030년까지 CBAM을 통해 총 21억유로(약 3조3820억원)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CBAM 수익으로 수출 기업 보조…무상 할당 폐지 보완
관련기사
- EU 지속가능 공시규제 완화에...유럽 198개 기업·기관 “핵심 취지 훼손 안돼”
- EU, 금융감독당국 대상 ESG 스트레스 테스트 프레임워크 구축
- EU 집행위 “그린워싱 규제법 철회 안 해”…소기업 제외 조건 달아
- EU, 2040 감축 목표에 국제 탄소크레딧 최대 3% 인정 추진
- EU, 청정산업 보조금 확대했지만…“보조금보다 지분 투자하라”
- EU,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 전기요금 완화 지원…2030년까지 한시 적용
- EU 회원국들 'ETS2 가격 안정화' 요구…민간 부담 완화 목적
- EU 이사회, ESG 공시·실사 규정 간소화 입장 채택
- EU, ‘그린 클레임 지침’ 삼자 협상 중단...재개 시기는 미정
- 유럽 투자자들, ESG 규제 완화에 법적 대응 검토
- EU, '네이처 크레딧' 시장 도입…생물다양성에 연간 104조원 투자 유치
- EU ETS2 선물시장 본격 가동… ICE 이어 EEX서도 거래 시작
- EU, 기업 매출세·탄소세로 연 95조 확보…방위·산업 예산 확대에 활용
- 정부, 배출권 유상할당 본격화…감축 넘어 산업 전환 도구돼야
- EU, CBAM 편법 차단 대책 마련…국가 단위 배출계수 검토
- 인도, EU에 CBAM 면제 요청…철강 수출 65% ‘직격탄’ 우려
- CBAM·배터리법… LCA, 안 하면 수주도 규제도 막힌다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