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내년 1월 본격 시행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앞두고 우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로이터는 3일(현지시각), 일부 수출국 기업들이 무역 구조를 바꿔 CBAM 적용을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럽집행위원회(EC)가 올해 말까지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EU, 중국 겨냥해… 저탄소 제품만 골라 EU 수출 막아야해
CBAM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등 주요 품목 수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국경세다. 2026년 1월 부터 시행되며, EU 역내 제조업체들은 CBAM 인증서를 구매해야 한다. 이미 배출권거래제(ETS)를 통해 부담하는 비용 수준을 역외 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해 ‘공정 경쟁의 장’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련기사
- ECB, EU 지속가능성 규제 완화에 경고…“금융 안정성 위협”
- EU 온실가스 90% 감축안, 극우 주도권에 입법 지연 우려
- EU, 탄소국경세 수출 피해 보전 추진…CBAM 수익으로 보상제도 마련
- EU, CBAM 규제 대폭 완화…수입업체 90% 면제
- EU, 탄소국경세 대상 대폭 축소…전체 수입업체 10%만 적용 추진
- EU-영국, ETS 상호 연계 추진 합의
- EU 기업, 기후 로비 지출 20% 급증
- 알루미늄 산업, 공급망·규제 속 저탄소 생산을 위한 세 가지 전략
- BP, 영국 탄소배출권 제도 2042년까지 연장 지지… EU ETS 통합 검토 中
- 【월간 ESG 아카이빙】 8월 - 반도체/IT/철강/조선
- EU 알루미늄 업계, 스크랩 수출세 30% 요구…美 고율 관세 겹쳐 산업 기반 흔들
- 인도, EU에 CBAM 면제 요청…철강 수출 65% ‘직격탄’ 우려
- CBAM·배터리법… LCA, 안 하면 수주도 규제도 막힌다
- 현 LCA 체제의 한계와 리스크, 그리고 해법은?
- EU 알루미늄 시장, CBAM 앞두고 가격 9개월 최고…공급·조달 불안 확대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