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생성한 이미지.
 챗GPT가 생성한 이미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지원금 6억7900만달러(약 9454억원)를 전격 취소했다.

로이터와 CNBC는 29일(현지시각) 교통부 발표를 인용해 이 같은 조치를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해상풍력 지원 전면 취소, '낭비적 사업' 규정

이번 조치는 총 12개 해상풍력 관련 인프라 프로젝트에 배정된 자금을 회수하는 내용이다. 가장 큰 규모인 약 4억2700만달러(약 5947억원)는 캘리포니아 훔볼트(Humboldt) 해상풍력 터미널 개발에 배정돼 있었다. 훔볼트 프로젝트는 미 서부 최초의 해상풍력 터미널로, 2045년까지 25GW 해상풍력 발전을 목표로 한 캘리포니아 주 계획의 핵심 인프라로 꼽혀왔다.

숀 더피 미국 교통부 장관은 성명에서 “낭비적인 풍력 사업에 투입될 자원을 미국 해운 산업과 항만 인프라 재건에 쓰겠다”고 밝혔다.

지원이 중단된 프로젝트에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인근 풍력 물류·제조 허브(약 655억원), 뉴욕 스태튼아일랜드 풍력 터미널(약 669억원),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산업 부지 재개발 프로젝트(약 460억원) 등이 포함된다.

이 밖에도 코네티컷, 뉴저지, 로드아일랜드, 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등 동부 연안 주요 항만 프로젝트가 다수 취소됐다. 매사추세츠 주지사 모라 힐리는 “이미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멈춰 800여 명의 건설 노동자 일자리가 사라지게 됐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해상풍력 전선 전방위 압박…레볼루션 윈드도 제동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 외에도 동부 연안 풍력단지 재검토, 캘리포니아 고속철도와 환경 인프라 사업 지원금 삭감 등 친환경 인프라 전반을 겨냥하고 있다.

지난달 23일(현지시각)에는 덴마크 오스테드(Ørsted)가 매사추세츠와 로드아일랜드 앞바다에서 추진 중인 ‘레볼루션 윈드(Revolution Wind)’ 프로젝트에도 제동이 걸렸다. 해당 단지는 이미 80% 완공 단계였으나 미 내무부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으로부터 공사 중단 명령을 받아 모든 해상 활동이 멈췄다. 이 여파로 오스테드 주가는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오는 11월, COP30 앞두고 '기후 논의 반전' 시험대

오는 11월 브라질 베렘(Belem)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준비 중인 안드레 코헤아 두라고 위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청정에너지 행보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들의 적극적 참여를 촉구했다. 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는 친환경 전환이 기존 이해관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민간 부문이 한 발 더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잇따른 반기후 정책과 글로벌 ESG 역풍 속에 기업들의 참여 의지는 약화되고 있다. 최근 글로벌 금융권의 기후 연합 해체 움직임, 미국 내 재생에너지 기업 주가 급락 등이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COP30 개최지 베렘에서는 숙박난과 인프라 부족 우려도 제기되지만, 준비위는 “기업인들은 협상단보다 짧은 기간만 체류하기에 문제는 크지 않다”며 현장 참석을 재차 독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