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형태로 된 젤프의 메탄 저감 장치를 하고 있는 소의 모습. / Royal college of Art.
마스크 형태로 된 젤프의 메탄 저감 장치를 하고 있는 소의 모습. / Royal college of Art.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축산업 부문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특히 소는 전 세계 온실가스의 5%를 차지하는 주요 원인이다.

젤프(ZELP)는 축산업으로 인한 메탄 배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소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의 메탄 저감 장치를 개발했다. 

이 제품은 전 애플 디자이너인 조니 아이브(Jony Ive)와 찰스 왕세자가 심사한 제 1회 테라 카르타 디자인 연구소 대회(Terra Carta Design Lab Award)의 우승 프로젝트로 선정돼 주목을 받았다. 

 

소가 쓰는 마스크는 무엇?

소와 양 같은 가축들은 풀과 건초 같은 단단한 섬유질을 분해하기 위해 미생물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약 30배 더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이 발생한다. 지구상에 10억 마리의 소가 있기 때문에 가축으로 인한 메탄 발생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5%에 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소들은 대부분 코를 통해 메탄을 배출하고 나머지 95%는 트림으로 나온다. 젤프의 공동 설립자 프란시스코 노리스(Francisco Norris)는 바로 이 점에 착안했다. 소에게 마스크를 씌워 메탄을 흡수하는 것이다.

젤프의 웨어러블 기기는 소의 목에 거는 마스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기는 고무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무게는 100 g 미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마스크는 소의 콧구멍 바로 위에 놓이는 구조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태양광 충전 배터리로 구동된다. 소의 트림을 빨아들이고 메탄 흡수 필터를 통해 장치에 가둔 뒤 가스를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바꿔 배출하는 형태다. 노리스는 이 기술이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첨가물이 함유된 사료를 먹지 않는 소들에게 특히 적합하다고 언급했다.

현재 젤프는 이 마스크를 통해 소의 일일 메탄 배출량을 약 3분의 1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노리스는 “이 마스크를 테스트했으며 디자인 확정 후 2023년에 상업적으로 출시될 것”이라고 전했다. “초기에는 유럽을 기반으로 가입자가 소 한 마리당 연회비를 내는 서비스로 마스크를 제공할 계획”이라도 밝혔다.

젤프는 글로벌 농업 기업 카길과 협력해 메탄 감축 데이터를 수집 중에 있다./ 카길
젤프는 글로벌 농업 기업 카길과 협력해 메탄 감축 데이터를 수집 중에 있다./ 카길

 

글로벌 농업 기업, 카길과도 협업

젤프는 글로벌 농업 기업인 카길(Cargill)과 협력하고 있다. 카길은 젤프의 이 기술이 데이터 수집과 함께 메탄을 감소하게 해 낙농업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동물 복지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카길의 서유럽 전략마케팅 및 기술책임자인 샌더 반 지더벨트(sander van zijderveld)는 “카길이 현재 기술을 더욱 개선하고 농장에 대한 환경 영향 및 동물 복지에 대한 주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베타 제품을 동물에게 씌워 테스트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최근 수행한 실험을 통해 50% 이상의 메탄 감소 효율을 확인했다. 다음 단계로 젤프와 함께 외부 유명 연구 기관, 대학 등과 협력해 추가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젤프의 공동창업자인 프란시스코 노리스./ 테라 카르타 디자인 연구소
젤프의 공동창업자인 프란시스코 노리스./ 테라 카르타 디자인 연구소

 

전문가들, 상용화를 위해 관련 연구 필요하다고 조언

노리스는 내년에 젤프가 상업적으로 판매되기 전에 제품의 양을 늘리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코넬대학 동물학 교수인 마이클 반 암부르크(Michael Van Amburgh)는 "젤프의 배출량 감소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영국의 가축 지속가능성 컨설턴트인 주드 캐퍼(Jude Capper)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메탄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것은 소매업체와 가공업체 모두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우리가 다루어야 할 문제라는 것은 모든 농부들도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농부들은 코로나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젤프는 몇몇 미국의 육류 가공 업체들과 함께 이 제품을 농장에 배치하기 위해 협의 중에 있다. 이어 “농부는 제품의 소매가격에 프리미엄을 추가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의 구매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리스는 "축산업으로 인한 메탄가스 배출 문제는 급진적인 해결책 없이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어떤 소비자들은 채식주의자가 되는 것을 선택할 것이고, 어떤 소비자들은 소고기를 덜 먹는 것을 선택할 것이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기후 영향이 현저하게 낮은 소고기와 유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