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투자자에게 보다 명확하고 일관된 정보 제공과 함께 그린워싱 등의 ESG 허위 리스크를 완화시키기 위해 ‘ESG 투자상품의 새로운 공시 규정안(ESG Disclosures)’을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SEC가 새로운 규정안을 발표하게 된 이유는 표준화된 ESG 정의(definition)와 기준의 부재로, ESG 투자자들이 비교 가능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데 있다.
최근 ESG 관련 투자 상품 및 자문 서비스가 크게 확대되고, 이에 맞춰 투자자의 ESG 관심도도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블랙록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ESG 투자상품을 경쟁적으로 만들고, 마케팅화해 ESG 투자 규모를 견인 중에 있다.
핀테크 기업인 브로드릿지 파이낸셜 솔루션(Broadridge Financial Solutions)은 펀드 등을 포함한 ESG 투자 규모는 작년 말 기준으로 7조 달러(8792조원)에 육박했으며 2030년이 되면 4배 가량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이 ESG 투자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표준화의 부재’와 ‘그린워싱 리스크’가 끊임없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 美 SEC, ESG ‘펀드 이름 규칙’ 공개
- "ESG 기준 사용한다" 한 문장 적었다가... 19억원 과징금
- 미국 기업 절반 이상 ESG 데이터 관리 체계 취약해
- EU, 기업 지속가능성보고표준(ESRS) 13개 초안 발표
- 【속보】 ISSB,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안 2개 초안 발표
- 발행사와 투자자, ESG 공시 온도 차 어떻게 맞추나
- DWS 대표 사임까지...해외 사례로 본 거세지는 그린워싱 규제
-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의 예언? 골드만삭스, 왜 SEC 조사 받나
- 그린펀드, 파리기후협정에 부합되나? S&P 보고서
- ISSB, SEC, EFRAG 경쟁으로 기업 부담감 증가하나?
- 【Trend Insight】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어떤 찬반 의견 쏟아졌나
- 블랙록, “SEC 기후공시 TCFD에 맞게 내용 조정돼야”
- 스위스, 투자 상품 및 포트폴리오에 대한 ‘스위스 기후 점수’ 론칭
- ESG 라벨 단속 들어간 SEC, ESG 주주투표 현황 확인 중
- 미 SEC, 그린워싱 단속 나선다... 펀드명과 투자정책 일치 '이름 규칙' 최종 의결
김효진 editor
hyojin@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