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생산업체인 넥스트에라 에너지(NextEra Energy)가 2045년까지 탄소 상쇄 없이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리얼 제로(Real Zero)’ 약속을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리얼 제로는 탄소 포획 시스템이나 상쇄 장치 없이 온실가스를 100% 감축하고, 재생 가능에너지 제조 시설을 개발해 고객 및 자회사에게도 저비용으로 재생가능 에너지를 공급하겠다는 것을 말한다.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때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도 또 하나의 목표다.
리얼 제로 선언은 ▲직ㆍ간접 탄소 배출 제거 ▲풍력, 태양광, 배터리 저장, 녹색 수소 등 재생 에너지 개발 투자 ▲고객들의 탄소 배출 감축 지원 등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볼 수 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배출량에는 직간접 배출에 해당하는 스코프(scope) 1-2가 대부분 차지한다. 이에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직간접 배출량 저감 목표를 2030년 80%를 시작으로 5년마다 5%씩 가량 높여 2045년에 100%를 달성할 예정이다.
리얼 제로 계획이 발표된 이후,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넥스트에라 에너지가 수소 사업에 '야망'이 큰 한편의 '도박'을 하는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가장 우려가 되는 부분은 수소 비용이다. 연소 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녹색 수소는 재생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것보다 몇 배나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 다른 우려는 전기가 수소를 생산할 때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이다. 누출이나 다른 안전 문제 없이 순수 녹색 수소를 사용하려면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천연 가스 파이프라인과 기존 터빈에 값비싼 금액을 투자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리얼 제로 목표와 반대되는 부분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넥스트에라 에너지 CEO 존 케첨을 만나, 회사 운영에 있어 수소가 어떤 역할을 할지, 수소의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해 인터뷰를 했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을 요약ㆍ번역한 것이다.
Q: 지난 해 넥스트에라의 전임자는 "넷제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솔직하지 않다"고 말했는데, 지금 왜 다시 넷제로 목표를 결정하게 되었나?
A: 우리는 '리얼 제로' 기준에 맞는 방법을 찾고 싶었던 것 같다. 우리가 의미하는 '리얼 제로'는 '상쇄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재생가능 에너지와 녹색수소를 100% 온실가스 배출 없이 생산하는 것이다.
Q: 수소가 이 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A: 우리는 16기가와트(GW)의 기존 천연가스 화력 발전소를 녹색수소 발전소로 전환할 것이다. 천연가스 자산의 유효 수명이 끝나는 2042~2043년으로 추측된다.
Q: 녹색수소는 천연가스보다 훨씬 비싸다.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A: 지금 천연가스는 꽤 비싼데,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수소를 만드는 제조사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술 발전이 가장 먼저 필요할 것이다. 전해질 생산과 제조 운영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수소 가격이 비싸지만 서유럽에는 그렇지 않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어떤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지 계속 지켜볼 것이다.
Q: 넥스트에라 플로리다 파워&라이트 외에도 수소 개발을 할 것인가?
A: 수소 개발은 태양, 풍력, 배터리 스토리지와 같은 재생에너지 사업에도 큰 기회가 될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개발하면 화석연료에 의존할 필요 없이 발전소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더 많은 재생에너지를 개발해 녹색수소를 공급할 예정이다.
Q: 녹색수소를 다른 사람에게 매각할 계획은 있는가, 아니면 그냥 녹색수소 사업을 운영할 생각인가?
A: 궁극적인 우리의 목표는 산업용, 제조용, 운송용 등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재생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Q: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으로 수소를 수송할 것인가? 누출 문제가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A: 이미 역량이 풍부한 회사에 투자하기도 했다. 우리도 자체 전기분해기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수소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가스 파이프라인을 대규모로 활용할 예정이다.
Q: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원자력 발전소를 소유하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존 발전소 운영에 대한 언급은 없던데,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A: 우리는 재생 가능한 수소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생 에너지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다.
Q: 천연가스 발전소를 수소로 전환하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
A: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이건 재산권이기 때문에 기밀사항이다. 크게 비싸지는 않을 것이고, 시간이 갈수록 훨씬 더 저렴해질 것이다.
Q: 넥스트에라 에너지도 녹색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까?
A: 파이프로 운반되거나 현장에 보관되어야 할 것이다. 재생 가능한 에너지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해질 장치를 두거나 현장 밖에 전해질이 장착된 재생가능 에너지를 구축한 뒤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할 수도 있다.
- 블룸버그, "삼성전자 낮은 재생에너지 사용률 우려"
- 세계1위 재생에너지기업 '넥스트라 에너지', 캐나다연기금이 50% 지분 매입
- 부동산 투자기업 하인즈, 탄소 상쇄 없이 모든 건물 넷제로 계획 내놓아
- 싱가포르, 저탄소 에너지 수입에 원자력 포함...첫 원전 시작되나?
- 【그린워싱 탐사대】이베르드롤라의 탄소중립 전략, 그린수소ㆍ스마트 그리드
- BESS(배터리에너지 저장장치)업체가 넷제로 전환을 주도한다
- 넥스트에라, 한화솔루션… 잘 나가는 재생에너지 산업 및 석유 산업 전망
- 맥쿼리 그룹, 자회사 통해 배터리 스토리지 사업 나선다
- 스틸 다이나믹스, 넥스트에라 에너지와 업계 최대 규모 재생에너지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