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디어 이코노미스트가 지난 21일(현지시각) 작성한 “ESG는 ‘배출량’이라는 간단한 척도로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라는 글이 화제다.
최근에는 ESG를 하나의 평가 잣대로 볼 수 있는지, E와 S와 G를 각각 따로 떼어내서 평가에 활용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이코노미스트는 E(환경) 중에서도 탄소 배출에만 집중하는게 맞다는 의견을 냈다.
이코노미스트는 ESG가 가진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보 공시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자산운용사 EY한영은 지난 14일(현지시각) 5단계 정보 공시 방법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ESG 그린워싱과 저신뢰 문제, 왜 겪나
관련기사
- “한국 전환 리스크를 ISSB 기준에 반영해야…” 문철우 G7 코리아 ESG 위원회 위원장
- ESG 데이터로 살펴본 그린워싱 리스크
- SFDR로는 그린워싱 못막는다…그린워싱 잡을 5단계 개선법
- 블랙록, “SEC 기후공시 TCFD에 맞게 내용 조정돼야”
- 【Trend Insight】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어떤 찬반 의견 쏟아졌나
- HBR도 ESG 논쟁에 참전… “ESG 투자는 지구를 구하게 디자인되지 않았다”
- 블룸버그 연구, 트레이더들 “ESG중 G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해
- 맥킨지 보고서, ESG가 중요한 이유…사회적 자격 위해 필요해
- 생물 다양성 상실, 국가 신용등급에도 영향 준다
- [2022 대한민국 ESG포럼 ②] 지속가능한 기업, S와 G 리스크 주의해야
- S&P 글로벌, 투자자가 생물다양성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출시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