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2차 업종별 ESG워킹그룹 회의’에 초대된 백태영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ISSB 초대 위원)는 “금융권 중 은행과 보험사를 ‘탄소산업’으로 분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면서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에서 금융배출량 측정 및 공시이슈가 부각되는 만큼, 업계와 금융당국이 글로벌 ESG 규범에 대한 모니터링과 기후금융 관련 가이드라인을 세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참석한 최순영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환경과 기후변화가 금융시스템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각국 중앙은행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116개국 중앙은행과 금융감독기구가 회원으로 가입한 녹색금융협의체(NGFS, Network for Greening the Financial System)가 제공하는 기후변화 영향 분석자료인 ‘기후 시나리오(Climate Scenario)’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연구위원이 말한 NGFS의 새로운 시나리오가 최근 발표됐다.
모델링에 따르면, 지난해 기후정상회담인 COP26에서 약속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따르거나 현재의 정책 시나리오대로 진행될 경우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온도가 2.6도 상승한 ‘온실 세계(hot house world)’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연재해에 대한 노출은 현재 수준에서 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자연재해 중에서도 가뭄과 폭염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기사
- ECBㆍESRB, 기후위기가 유로존 금융 부문에 미칠 파급 경고
- 내부 탄소 가격제를 도입하는 방법
- NGFS, 생물다양성 손실 등 자연관련 위험 다룰 TF 꾸린다
- 글로벌 주도권 잡는 일본... 지속가능금융국제플랫폼 워킹그룹 공동대표로 선정
- ‘지금’ 기후대응 안하면 2050년 GDP 7.4% 감소한다
- 금융위·금감원, NGFS 가입 신청... 중앙은행·감독기구 모두 참여
- 【줌인 ESG】 한국의 녹색금융 전환 순위는? 1위는 중국
- 첫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나왔다... 유럽중앙은행 공개
- 글로벌 금융당국, 기후변화 스트레스 진척 상황은?
- 유럽은행 투자 받았으면 기후정보 공개 필수로 해야 한다
-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ETS, 재생에너지, 순환경제에서 정부가 할 일은?
- EU 에너지 가격 안정계획 급물살… ETS 예비비 · EU 혁신기금 자금 활용하나
- FTSE "저탄소 투자, 2030년까지가 기회다"
- 은행업계 화석연료 자산 비중 높아, 노출위험 가중치 부여 법안도 제출돼
- G20 금융안정위원회 "기후 공시 기준 마련 서둘러야"
- 녹색기후기금(GCF), 5억5000만달러 기후변화 대응 사업 추진… 산업은행 GCF 자금 지원받아
- ISSB, 기후공시 요건으로 시나리오 분석 요구한다
- 중국, '그린워싱' 기금을 통제하기 위한 새로운 규정 마련에 나서
- 【단독】금융위 지속가능금융과 폐지…전담부서 공백, 메울 수 있을까
박란희 chief editor
admin@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