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각국의 녹색 정책과 산업 현황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 대학원(이하 고려대학교 그린스쿨)이 주최하고 임팩트온이 미디어 파트너로 참여하는 ‘2022 그린 에너지 & 모빌리티 전문가 포럼(Green Energy & Mobility Expert Forum)’이 21일 더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룸에서 개최됐다.
포럼 조직 위원장을 맡은 하윤희 고려대학교 그린스쿨 교수의 주도 하에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연구원, 정부 관계자를 포함한 그린 에너지와 모빌리티 전문가들이 각국의 녹색 정책 및 산업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하윤희 교수는 임팩트온과의 인터뷰에서 “고려대 그린스쿨은 개발도상국의 에너지부, 에너지공공기관 간부를 초청해서 석박사 과정을 취득하게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졸업생들이 현지에 돌아가서 에너지 정책 결정 분야의 중요한 고위직이 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라고 소개했다.
하 교수는 “개도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이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글로벌 에너지 전문가 네트워크(IEEN, International Energy Expert Network)가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IEEN은 동남아 4개국 85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으며, IEEN이 개최한 올해 포럼은 4회차다.
인도네시아, 전기 이륜차 2만 대… 배터리 충전보다 교체소 많아
케빈 가우술탄(Kevin Gausultan) PLN 연구원은 “인도네시아는 이미 전기차 생태계가 조성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PLN은 전기차 충전소, 배터리 교체소와 같은 인프라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하는 인도네시아 연구소다.
그는 “인도네시아는 이륜차를 많이 사용해 배터리 충전소보다는 교체소가 필요하므로 2030년까지 67곳의 신규 교체소를 요구할 것”이라며 “2020년을 기준으로 전기로 구동되는 이륜차는 2만 대, 사륜차는 2600대 수준이며, 2022년에는 300개가 넘는 교체소와 255개의 충전소가 설치됐다”고 말했다.
아구스 차하야나(Agus Tjahajana Wirakusumah) 인도네시아 산업개발부 특별 고문은 “인도네시아 정부는 2060년 넷제로 달성 목표를 제시했으며, 국제 원조를 통해 전력 발전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25년까지 23%, 2050년까지 31%로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하냐하 특별 고문은 “인도네시아 인구는 3억3600만명으로 세계 4위고, 탄소배출량은 9위로 기후변화 문제에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며 “2021년부터 2060년까지 3단계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2060년까지 5억5000만톤(t)에서 1억t으로 감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는 운송 부문에서 탈탄소 정책을 강조하므로 전기차와 선박 산업이 많이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니 수산디(Tony Susandy) 인도네시아 에너지 천연자원부 신재생에너지과 서기관은 “10대 배출국인 인도네시아의 1인당 배출량은 2.2t으로 한국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NDC 목표를 발표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산디 서기관은 “2060년 전력 수요량은 2000테라와트시(TWh)로 예상되는데 96%를 재생에너지에서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령과 에너지광물자원부, 전기수송부 등이 제안한 부문별 규제와 함께 최상위법인 신재생에너지법 초안을 냈다”고 부연했다.
베트남, 대기업 빈패스트의 독점… 후속 기업 기다려
뷔 꽝 빈(Bui Quang Binh) 베트남 사회과학원(VASS) 선임 연구원은 “베트남은 전기차 전환 로드맵을 세웠는데 최저(Base), 중간(Medium), 최고(High) 목표로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빈 연구원은 “2025년에는 버스를 100% 전기 버스로 대체하고 2030년에는 택시를 100% 전기차로 전환한 후, 2050년에는 이륜차의 100%, 전체 차량의 70%를 전기화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그는 “전기차 수가 2019년에는 140대가량이었으나 2022년 5월을 기준으로 2259대로 확대됐다”며 “베트남 대기업인 빈패스트(VINFAST)가 전기차 생산과 충전소 설치를 독점하고 있으며, 2000개가 넘는 충전소를 베트남에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빈 연구원은 “다만, 충전소에 대한 계획이나 기획이 아직 부족하고, 전기차 충전에 대한 표준이 없으며, 전력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은 2023년 도전 과제로 삼아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웬 바 호아이(Nguyen Ba Hoai) 베트남 전력공사 국가급전센터 연구원은 “전기 수요가 늘면서 전력 부하가 9~10% 늘었고 재생에너지 전기로 대체하려면 21기가와트(GW)의 수준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필리핀 전체의 전력 설비 용량 수준이므로 과부하 문제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호아이 연구원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500킬로와트(KW)에서 1메가와트(MW) 용량이므로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적지 않은 수준이다. 그러나 태양광 패널은 베트남 남부에 대부분 설치되어 송전 문제가 있으며, 규제가 개발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데이터 추적과 관리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짚었다.
말레이시아, BMW와 현대의 전기차 시장 진출… 경쟁 치열
오마르(Huzaimi Nor bin Omar) 말레이시아 Green EV Charge COO는 “말레이시아는 교통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이 전체의 20% 수준으로 높은데, 이륜차보다 훨씬 적은 자동차가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46%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30년에는 신차 시장의 15%가 전기차로 대체될 것”이라며 “올해 인센티브 정책을 발표했고 이를 매해 지급할 예정으로, 현재 기업들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오마르 COO는 “BMW는 전기차 모델 세 개를 출시했고, 수입업체인 버마즈 그룹은 기아, STM은 현대 코나와 아이오닉5, 페케마는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수입하고 있다”며 “ChargEV(차지비)와 페트로나스가 설립한 자회사 겐타리가 2만5000개의 충전소를 만들기 위해 움직이면서 말레이시아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다”고 강조했다.
모하마드 함지 빈 압둘 아지즈(Mohamad hamzi bin Abdul Azziz) 말레이시아 에너지 천연자원부 차관은 “발전 믹스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3%인데 2025년에는 31%, 2035년에는 40%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아지즈 차관은 “에너지 효율법이 내년 중반에 공포될 예정인데, 현재 4.3% 정도의 에너지 효율을 2025년 8%까지 강화하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아지즈 차관은 “정부가 전기차 보급을 높이기 위해 관련 이니셔티브를 내고 많은 민간 기업들이 이에 참여 중”이라며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정부가 표준과 목표를 세우되 민간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도적 유연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르 비그나 쿠마란 라마찬다라머시(Ir. Vigna Kumaran Ramachandaramurthy) 말레이시아 UNITEN대학교 교수는 “말레이시아는 2050년 넷제로 목표를 발표했고, UNITEN대학은 다양한 에너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말레이시아는 분산 자원과 가상발전소를 결합한 개념인 마이크로그리드에 주목하고 있으며, 모든 가정이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생산한 전력을 거래하는 프로슈머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차에 장착할 수 있도록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그리드를 연구 중이며, 전기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이용하는 기술인 V2G도 개발하고 있다”며 “현재 1회 충전으로 300~400km 정도 나오는 주행거리를 1000km로 높일 수 있는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중⋅단거리 다양한 전기차종이 특징…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
벤제마-호프 프레오 플로레스(Benjemar-Hope Freo Flores) 필리핀대학교 전기화학 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필리핀의 전기차 산업은 초기 단계로, 포괄적 로드맵이 제시된 적은 없으나 내년 1분기에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플로레스 연구원은 “거리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전기차는 삼륜차 E-트라이크로 단거리 주행을 위한 차량이다. 이륜 전기차는 4200대 이상이며, 중거리용 대중교통 수단인 E-지프니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산업부가 앞서 언급한 차량별 수에 따라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를 확대해 세웠으며, 충전소 현황은 AC(완속) 충전소 250개, DC(급속) 충전소 15개, 배터리 교체소 18개다. AC는 마닐라를 포함한 대도시에 있고, DC는 세부섬, 배터리 교체소는 지방에 많다”고 전했다. 플로레스 연구원은 “전기자동차 산업 증진법(RA11697)을 통해 이 산업에 대한 지원이 늘어날 예정이므로 기업과 투자자, 연구소에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루데스 마리아 카프리쵸(Lourdes Maria A. Capricho) 필리핀 에너지부 에너지 관리실 에너지 기술과 과장은 “운송 부문은 전체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30.4%를 차지하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2%를 차지하는 등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집중해야 하는 산업”이라고 말했다.
카프리쵸 과장은 “필리핀은 전체 차량 1300만대 중에 전기차는 9000대로, 0.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현재 전기차 3000대 보급과 보조금 정책을 시작으로 2040년까지 100% 전기차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에너지 효율과 절약을 위한 핵심 법령들이 있으며, 앞으로 전기차와 충전소에 관련한 많은 투자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전망했다.
마리 가비스(Mary Grace V. Gabis) 필리핀 에너지부 재생에너지관리 부서 선임연구원은 “전력 부문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은 22%를 차지한다”며 “비중을 2035년에 35%, 2050년까지 50%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비스 연구원은 “2030년까지 에너지 절약 5%, 전기차 보급률 10%를 목표로 세웠으며,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율은 1%에서 2.52%로 확대했다”고 덧붙였다. 또, 가비스 연구원은 “필리핀 재생에너지 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외국인 지분 소유를 기존 40%에서 100%까지 소유할 수 있게 법을 개정했다”고 덧붙였다.
- [2022 그린 에너지&모빌리티 전문가 포럼]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인프라 미래는?
- [2022 그린 에너지&모빌리티 전문가 포럼] 베트남의 전기차 시장은?
- 인도네시아, 미국·중국 손잡고 환경 사업에 대대적 투자
- WBCSD, 경공업 탈탄소화는 신재생열에너지에 달렸다
- 미국, 버스·트럭도 2040년까지 무배출 차량만 허용
- 자동차 제조사가 공급망 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은?
- EU, 차량 배기관 탄소배출 제한하는 ‘유로 7 규칙’ 제안
- 전기차 고속도로 충전의 미래는?… 미국 최초의 연구 결과 나와
- 베트남 전기차 제조사 빈패스트, 美나스닥 상장 신청
- 테슬라·BYD 태국시장 판매 급상승…아시아 EV 시장 확대 기대
- 베트남 전기차 빈패스트, 미국과 유럽에서 날개 달까
- 인도네시아 정부, '니켈 산업에 환경 모니터링 강화'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