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발효되는 유럽연합(EU)의 배기가스 배출 규제 유로7을 앞두고 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이 테슬라와 폴스타 같은 전기차 제조사로부터 탄소 크레딧을 구매해 벌금을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7일(현지 시간) 로이터는 전기차 판매량이 적은 제조사들이 배출량이 낮은 제조사와 ‘풀(pool)’을 구성해 평균 배출량을 낮추는 방식으로 규제를 충족하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예를 들어, 100% 전기차만 생산하는 기업인 테슬라와 폴스타는 자체 배출량 규제가 여유 있는 만큼 잉여 탄소 크레딧을 다른 제조사에 판매할 수 있다.
전기차 판매량 적은 제조사, 배출량 낮은 제조사와 ‘풀(pool)’ 구성
관련기사
- 영국, 독일 제치고 유럽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
- 프랑스, 유로7 벌금 재검토 촉구... 전기차 불황에 따른 규제 유연성 요구
- EU 전기차 전환은 말로만...내연기관차에 60조원대 보조금 지급
- 스탤란티스 제조사와 딜러, 유로7 배출가스 규제 놓고 입장 갈려
- 유럽 자동차 제조업, 22조 벌금 우려...배출량 풀링(Pooling) 전략 활용
- 유럽, EV 시장판도 뒤바뀐다...미국은 커넥티드카 규제로 연 판매량 2만6000대 줄어
- 우버, EU에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시점 5년 앞당기자 제안
- 스텔란티스, 유로7 완화 요구 반대…저가형 전기차로 시장 공략
- 10대 자동차 제조사, 유로7 목표 대부분 달성 전망...기아 2위, 현대차는 8위
- 유럽 자동차업계 압박 커진다... 메르세데스-벤츠 CEO, "2025년 배기가스 규제 유예 시급"
- 유로7에 따른 배출량 풀링(Pooling), 중국 좋은 일만?
- 테슬라, 유럽·미국서 판매량 급감... 머스크의 정치적 불호 반영?
- EU, 유로7 자동차 배기가스 벌금 규제 간소화...농업보조금 제도도 손질
- 르노, 전기차 화재 진압 시간 90% 단축… 특허 무료 개방해 업계 안전 기준 높인다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