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포집 시설 급증에 파이프라인 안전 규정 제안
- 파이프라인 파열 사고…주민 피해에 운영사 40억원 벌금
미 교통부 산하 파이프라인 및 유해물질 안전관리청(PHMSA)이 이산화탄소 포집 파이프라인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포괄적인 새 규정을 제안했다고 로이터와 전문지 월드파이프라인 등이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규정은 2020년 미시시피주 사타르티아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파이프라인 파열 사고를 계기로 제안됐다. 당시 운영사인 덴버리사의 24인치 델타 파이프라인 파열로 수천 배럴의 이산화탄소가 유출돼 지역 주민들이 대피하고 병원으로 후송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덴버리는 탄소포집·사용·저장(CCUS) 전문 기업으로 2023년 엑손모빌에 인수됐다.
미국에서 탄소포집(CCS) 사업이 확대되면서, 포집된 탄소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의 확보가 관건이 되고 있다. 파이프라인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탄소포집 시설 급증에 파이프라인 안전 규정 제안
관련기사
- 글로벌 탄소포집⋅저장 산업 전수조사...연 32% 성장률 기록
- 엑손모빌, 미국 최대 탄소 저장 프로젝트 시작...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활용
- 캘리포니아, 최초의 CCS 프로젝트 승인
- 인도네시아, CCS기술 관리 규정 발표
- 셸과 에퀴노르, 블루수소 시장성 없어…수소 접고 CCS에 집중
- 에너지 대기업 3개사, 영국 탄소포집 사업에 51억 달러 투자
- 메이저 정유사 에니, 이탈리아 최초의 CCS 프로젝트 가동
- 2024년 저탄소 시멘트 투자 역대 최대 기록...탄소포집기술 상용화 목전
- CCUS법 시행, 탄소저감기술 육성 본격화
- 캡처라, DOC 상용화 목전... 美 정부·MS도 뛰어든 탄소 포집 시장
- EPA, 웨스트버지니아 탄소 포집 허가권 부여..."트럼프 정부도 지원"
- 덴마크, 탄소 저장 탐사 본격 착수…2030년까지 연 1500만 톤 저장 목표
- 美 최대 탄소포집망, 사우스다코타서 또 무산…"주민 동의 없인 땅 못 쓴다"
- 미 트럼프 행정부, 파이프라인 확산 정책 가속화...기업은 신규 건설 주저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