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정부가 자연환경을 상품화하는 '자연복구시장(Nature Repair Market)' 육성에 본격 나선다.

블룸버그는 22일(현지시각) 호주 정부가 2억5000만 호주달러(약 2308억원)를 투자해 자연 보호구역을 3000만 헥타르 추가 확대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투자로 현재 초기 단계인 호주의 자연복구시장도 크게 활성화될 전망이다.

호주가 본격적인 자연자본 시장 확대에 나선다. / 픽사베이 
호주가 본격적인 자연자본 시장 확대에 나선다. / 픽사베이 

타냐 플리버섹(Tanya Plibersek) 호주 환경부 장관은 "이 프로그램은 뉴질랜드보다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호주가 2030년까지 지구 육지와 물의 최소 30%를 복원한다는 세계적 공약 이행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생물다양성도 크레딧으로 거래... 환경보전과 경제가치 동시 추구

호주 정부는 이번 투자를 통해 자연보전을 넘어 '생물다양성 시장(Biodiversity Market)' 육성까지 겨냥하고 있다. 이 시장에서 토지 소유자는 토착 산림 복원 같은 활동으로 크레딧을 생성해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크레딧 구매자는 이를 통해 자체 환경보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다. 

실제로 지난 2월 로마에서 열린 '제16차 UN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COP16)' 재개 회의에서 전 세계 140개국 이상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되돌리기 위해 2030년까지 매년 2000억 달러(약 293조5800억원) 자금 조달 전략에 합의한 바 있다. 세계적으로 자연자본 투자가 급증하는 흐름이 반영된 결과다. 

호주 정부가 추진 중인 자연복구시장은 생물다양성 복원·보호 활동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자발적 시장으로, 개인과 단체가 자연복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농지 식목 ▲수로 식생 재건 ▲기존 서식지 보호 등이 있으며, 토지 소유자, 농부, 원주민, 보전단체, 투자자 등이 참여 가능하다.

이 자연복구시장의 핵심은 '생물다양성 인증서(Biodiversity Certificates)'다. 프로젝트 수행자는 생물다양성 이익이 달성되면 인증서를 받아 보유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특히 호주의 '탄소 크레딧 유닛(Australian Carbon Credits Unit, ACCU)' 제도와 연계되어 있어, 조건 충족 시 생물다양성 인증서와 탄소 크레딧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LANR' 플랫폼으로 시장 활성화... 민간 참여 문턱 낮춰

자연복구시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호주 정부는 '플래너(PLANR)'이라는 종합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프로젝트 계획부터 비용 산정, 생물다양성 평가, 미래 이익 예측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마켓플레이스 기능도 갖추고 있다.

PLANR는 ▲매핑 도구 ▲생물다양성 혜택 도구 ▲비용 추정기 ▲마켓플레이스 ▲환경 계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원 시스템은 자연복구시장 진입 장벽을 낮춰 민간 참여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호주 정부는 '생물다양성 평가 도구(Biodiversity Assessment Instrument)'와 '생태 지식 시스템(Ecological Knowledge System)'도 함께 개발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다양한 자연복구 프로젝트를 객관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게 됐다.

플리버섹 환경부 장관은 "침입종과 기후변화 같은 위협으로부터 환경을 더 많이 보호해야 한다"면서 "자연복구시장을 통해 모든 호주인이 앞으로도 자연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