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기후위기 대응에서 상반된 조치를 한 달 사이 연달아 내놨다.

4월 22일, 카슈미르 파할감(Pahalgam)에서 발생한 테러 직후 인도는 65년간 유지돼온 인더스 수자원 조약(Indus Waters Treaty)을 일방 중단했고, 한 달 뒤인 5월 26일에는 세계 최고 해상도의 기상예보 시스템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최근 국제사회의 정책 기조가 에너지, 식량, 광물 등 핵심 자원의 자국 안보 강화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과도 궤를 같이한다.

인도가 기후위기 대응에서 상반된 조치를 한 달 사이 연달아 내놨다. / 픽사베이 
인도가 기후위기 대응에서 상반된 조치를 한 달 사이 연달아 내놨다. / 픽사베이 

 

정밀 기상예보 시스템 도입…기술 기반 감시 체계 강화

인도 기상청(IMD)은 5월 26일, 해상도 6km의 신형 수치예보 모델 ‘바라트 예보 시스템(BFS, Bharat Forecasting System)’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영국, EU 등이 운영 중인 글로벌 예보 모델(해상도 9~14km)보다 정밀도가 높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BFS는 인도 열대기상연구소(IITM)가 개발했으며, 연산은 슈퍼컴퓨터 ‘아르카(Arka)’가 담당한다. 아르카는 초당 11.77경 회산(연산)을 처리할 수 있어 예보 계산 시간을 기존 대비 절반 이하로 줄였다. 기존에는 4개 마을 단위를 묶어 예보를 제공했으나, 앞으로는 마을별 맞춤 예보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BFS를 활용해 몬순 강우 예측, 농업 의사결정, 사이클론 감시, 재난 대응, 항공 및 군사 작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밀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지구과학부는 현재 40기 수준인 도플러레이더(Doppler weather radar)를 2025년까지 100기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도플러레이더는 강수의 위치, 속도, 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기상 예보의 정밀도를 높이는 핵심 장비다.

이와 함께 초단기 예보(nowcasting) 적용 범위도 전국으로 확대된다. 초단기 예보는 향후 1~2시간 내 기상 상황을 지역 단위로 실시간 예측하는 체계로, 국지성 강우나 급변 기상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인더스 조약 중단…수자원 통제의 전략 자산화

기상 감시 체계 고도화와는 별개로, 인도는 같은 시기 수자원을 외교·안보 자산으로 전환하는 결정을 내렸다.

4월 22일 테러 직후, 인도 안보내각회의(CCS)는 인더스 수자원 조약(Indus Waters Treaty)의 중단을 결정했다. 이 조약은 1960년 세계은행 중재로 체결돼 수차례 군사 갈등 속에서도 유지돼온 대표적 수자원 협력 체계다.

조약에 따라 인도는 동부 3개 지류(라비·비아스·수틀레지), 파키스탄은 서부 3개 지류(인더스 본류·제헬룸·체납)의 이용권을 갖고 있으며, 파키스탄은 해당 수계에 전력과 농업용수의 90% 이상을 의존하고 있다.

조약 중단 이후 인도는 체납강(Chenab) 유역의 란비르 운하(Ranbir Canal)를 60km에서 120km로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수로는 원래 제한적으로 체납강의 일부 유량을 인도 잠무(Jammu) 지역으로 끌어오는 용도로 운영돼왔다.

조약이 종료되면서 인도는 유량 통제를 보다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됐다. 운하 확장을 통해 초당 최대 150㎥의 물을 추가로 전환할 수 있게 되면서, 파키스탄 하류로 흘러갈 유량이 실질적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하류국의 식수·농업·에너지 기반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치다.

 

기후 리스크 대응, 기술과 통제가 교차하는 지점

문제는 기후변화로 인더스 유역에서 확보할 수 있는 수자원 자체의 절대량이 줄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제산악개발센터(ICIMOD)에 따르면, 인더스강을 포함한 힌두쿠시 히말라야 지역은 최근 3년 연속 적설량이 평년보다 낮았으며, 2030년까지 유량이 최대 50%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인도는 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지만 담수 보유량은 4%에 불과하다. 자국 정부는 2030년이면 수요가 공급의 두 배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수자원 자체가 희소해지는 가운데, 상류국의 유량 통제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하류국의 안보·생존·경제 질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흐름을 두고, 기후위기와 자원 스트레스가 겹치는 상황에서 각국이 협력보다는 자원 통제를 우선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