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권의 ESG 열풍이 거세게 일자, 금감원도 최근 그린워싱(Greenwashingㆍ위장 환경주의) 경고장을 날렸다.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검사국은 이달 초 각 증권사에 “다수의 운용사에서 ESG 펀드를 신규 출시하거나 기존 펀드를 ESG 펀드로 변경하고 있다”며 “향후 금융 소비자와 분쟁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으니 각별히 조심하라”는 경고장을 보낸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금융감독원은 대표적인 그린워싱으로 3가지 지점을 꼽았다. ▲투자 전략에 대해 정보를 불충분하게 기재하거나 ▲금융소비자를 오해하게 하는 표현을 사용하거나 ▲금융소비자의 기대와 불일치하는 자산운용을 했을 경우 ESG 펀드 시장에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는 행위라고 경고했다.   

특히 금감원은 “구체적인 투자전략을 기재하지 않았을 경우 ESG 시장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향후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투자 설명서에 펀드가 채택한 ESG 투자전략과 투자 대상 기업 선정방법 등을 충실하게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예를 들어 ESG 투자 전략에 따라 현재 ESG 취약기업에 투자를 하는 건 충분히 행할 수 있으나, 투자설명서에 이를 명확히 기재하지 않고 단순히 ‘ESG 요소를 반영하겠다’ 정도로 기록하는 건 워싱에 해당한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이런 행위는 투자를 선택한 금융소비자의 기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월 8일 국내 출시된 공모펀드 중 주식형 ESG 펀드로 분류되는 상품은 총 36개로, 설정액은 1조1789억원으로 집계됐다. 총 설정액의 절반에 육박하는 5233억원이 올해 들어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매우 가파르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증가세에 몇몇 펀드는 기존 펀드의 명칭에 ESG를 넣는 등 관련 상품을 활발히 출시하고 있다. 가령, 사회책임투자라는 명칭에 ESG를 추가한다거나, 기존 종목 변경 없이 명칭만 ESG로 바꾸는 식이다. 최근엔 ESG의 폭발적인 성장을 몰고 온 블랙록도 그린워싱을 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바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박혜진 연구위원은 "국내 ESG 펀드들의 ESG 수준은 평균적으로 일반 펀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재 공시되고 있는 정보만으로는 일반투자자들이 ESG 펀드의 실제 ESG 수준에 대해 파악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글로벌 전역에서는 그린워싱과 싸우기 위한 실질적인 규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그린워싱과 싸워라... 덴마크 규제대응팀 꾸리고, 일본금융청 ESG펀드 라벨 규정안 마련

덴마크 금융감독청은 최근 EU에서 시행하는 SFDR(지속가능 금융공시 규제)을 준수하지 않는 회사를 감독할 새로운 대응팀을 꾸리기도 했다. 

미국 SEC은 “시중에 나와있는 ESG 펀드 중 대부분이 그린워싱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앞으로 규제에 들어갈 것을 시사한 바 있다. SEC의 적발 사례에는 ESG 투자를 한다고 명시했지만 ESG 평가 등급이 낮은 기업에 주로 투자하거나, 술, 담배, 총기와 같은 죄악주 산업에 투자하는 행위도 포함됐다. 

관련기사: SEC "시중 ESG 펀드 대부분 그린워싱 중"

일본에서도 투자신탁 상품을 ESG 투자로 소개하거나 상품명에 ‘ESG'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을 위해 주요 자산운용사 등과 논의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