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설팅사 딜로이트는 25일(현지시각) EU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 1차 적용 기업 200곳의 공시를 분석한 결과, 업종별 공시 의제가 뚜렷하게 달랐다고 밝혔다. 동시에 데이터 품질과 비교 가능성, 거버넌스 정비는 모든 산업에서 공통 과제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딜로이트는 금융, 소비재, 기술·미디어·통신(TMT), 에너지·자원·산업, 생명과학·헬스케어 등 다섯 산업으로 나눠 공시 데이터를 비교했다. 보고서는 업종별 공시 초점과 방식에서 차이가 컸으며, 핵심 항목과 수치에서도 뚜렷한 특징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TMT는 공급망 인권, 소비재는 순환경제…산업별 공시 특징 구체화
금융에서는 은행의 90%가 투자·대출 포트폴리오 배출 목표를 설정했고, 대부분이 PCAF(탄소회계 금융 파트너십)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다수 은행은 기후 리스크를 신용 손실과 자산 평가 시나리오에 반영했고, 약 절반은 생물다양성을 중요 항목으로 공시했다.
관련기사
- CSRD 첫 보고서 분석...기업들, "기회보다 리스크" 더 많이 보고
- CSRD 불확실성에도 대기업은 ‘전략 유지’… ESG 보증 준비, 선도그룹 중심 격차 확대
- EU, CSRD·CSDDD 수정안 800건 쏟아져…법사위, 물밑 협상 착수
- 유럽지속가능성보고기준(ESRS) 간소화 자문안, 마감 기한 한 달 연장
- EU 이사회, ESG 공시·실사 규정 간소화 입장 채택
- 글로벌 금융업계, ESG 주춤… PCAF, 탄소회계 기준 완화, 이사회 성별 다양성도 감소해
- SEC, EU ‘이중 중요성’ 포기 촉구…美 자본시장 우위 확보 의도 노골화
- 글로벌 2000개 상장사 전환계획 전수조사…철강·알루미늄 ‘낙제’, 해운은 ‘선도’
- EU, 중소기업 ESG공시 부담 줄인다…저비용 디지털 도구 확산
- PwC, 글로벌 기업 66% 공시 투자 확대...AI 활용 1년 새 3배 급증
- 넷제로 목표 다시 늘었다… 글로벌 대기업 41% ‘전 가치사슬 감축’, 북미도 반등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