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금속 에너지 안보 기구(JOGMEC)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모아 지하에 저장하는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프로젝트를 위해 7개의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지난 6월 13일(현지 시간) 로이터가 보도했다.
탄소포집 없이는 온실가스 제로 어려워
CCS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땅속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갈 틈새가 없는 지하 암석층 빈 공간까지 파이프를 뚫은 뒤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탄소 포집 없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도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올해 1월 일본 경제산업성은 탈탄소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탄소포집 장기 로드맵을 제시했다. 2030년까지 매년 600만톤에서 1200만톤의 탄소 매립이 가능한 저장소를 확보하겠다는 내용이다. 일본 정부는 CCS 기술이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보고, 지난 4월 이번 프로젝트를 공개 입찰했다.
CCS 시설 구축을 위한 후보지로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운반, 저장 가능 규모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총 7개 지역이 선정됐다. 홋카이도 북부, 토호쿠, 니가타 및 수도권 등 일본 국내 5개 지역과 말레이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외 2개 지역이 포함됐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일본의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파이프라인과 선박 등을 이용해 말레이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으로 운송, 저장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도 포함돼 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이번 CCS 프로젝트를 완료할 예정이다. 저장 시설이 정식 가동되면 일본 연간 탄소배출량의 약 1%인 약 13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자부, 동해가스전 CCS 사업 예타 신청... 2025년 사업 시작 예상
우리 정부도 CCS 산업을 추진 중에 있다. 지난 6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동해 가스전에 연간 12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겠다는 프로젝트로, 정부가 주도하는 첫 CCS 사업이다. 예상 투입 자금은 약 2조원 규모다. 산업자원부는 예타 기간이 통상 6개월에서 1년 정도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2025년에는 사업 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간 기업들도 움직이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부터 국내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조성해 ‘말레이시아 셰퍼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한·말레이시아 간 이산화탄소 포집, 수송, 저장 사업이다.
SK E&S도 호주 기업 산토스 등과 함께 이산화탄소 저장소 개발을 추진 중이다. 액화 이산화탄소를 호주 다윈 지역에서 하역해 동티모르 해상 가스전에 영구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포스코인터네셔널은 호주의 고갈된 해상 가스전을 활용하는 CCS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 중이다. 지난해 인수한 호주의 천연가스 생산·개발업체 세넥스에너지와도 CCS 사업화를 위한 기술검토 와 경제성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권이균 한국CCUS(탄소 포집, 활용, 저장)추진단 단장에 따르면, 사업 추진 속도가 빨라 2030년 정도에는 꽤 큰 글로벌 마켓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인도 에너지 전환의 핵심, CCUS 프로젝트에 속도 낸다
- 【그린워싱 탐사대】 CCUS, 탄소중립 가속화하는 핵심 기술 상용화하는 기업들
- 노르웨이 탄소포집사업 고비용으로 일시 중단
- 미 환경청, 천연가스 발전소에 탄소포집 기술 설치 의무화하나?
- 영국, 2040년까지 탄소 포획에 200억 파운드 투자한다
- 국경을 넘나드는 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젝트, 그린샌드…덴마크에서 시작
- 탄소 제거 기업들, 미국 정부에 정책 로비하기 위해 연합맺어
- 아르셀로미탈, 탄소포집 계획 그린워싱 의혹
- 일본, 아시아의 탄소 포집과 저장 공동 규칙 제안
- 일본, 블록체인 활용한 탄소거래 플랫폼 개발 중
- 일본, 아시아 기후전환 금융 창설 계획 발표… 전환 위해 ‘국채’ 발행도
-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탄소배출권 거래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