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까지 식품 가공·제조 부문의 폐기물 10% 감축
- EU 내외 모든 섬유 생산업체에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적용
유럽연합(EU)이 식품 및 섬유 폐기물 감축을 위한 규제를 도입한다. 기업들은 폐기물 수거, 분류, 재활용 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EU 전역에서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경제적 구조도 변화할 전망이다.
19일(현지시간) EU 의회와 이사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폐기물 프레임워크 지침(waste framework directive) 개정에 잠정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는 식품 폐기물 감축 목표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고, 섬유 생산업체에 대해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적용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30년까지 식품 가공·제조 부문의 폐기물 10% 감축
관련기사
- 구글 X랩, AI 기반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진출
- "플라스틱 쓰레기는 소비자 책임"...뉴욕주, 펩시코 상대 소송서 패소
- 코카콜라와 펩시코에 플라스틱 소송… 미국서 ESG 소송 잇따라
- H&M 2025년 재활용 다운패딩 발표에, 왜 다운 산업은 반발하나?
- 딜로이트, 식품과 농업부문 경영진 350명 설문..."매출 증가시킨 지속가능성 요인은?"
- 자라, H&M 포함한 10개 패션브랜드, EU 섬유 폐기물 수거 규정 대비 시범 프로젝트 진행
- 브라질, 전기차 아닌 바이오 연료 육성에 박차... 룰라 대통령, '미래의 연료' 법안 서명
- 글로벌 데이터 보고서, 2028년까지 의류 중 여성복이 가장 느리게 성장할 것
- 메리어트 호텔, 유럽 53개 호텔에 AI 도입... 음식물 낭비 25% 줄여
- 이탈리아, 중국 패션업체 '쉬인' 그린워싱 혐의 조사...패션산업 정조준
- “빌 게이츠, H&M, 자라의 선택” 실험실 면화 생산 스타트업, ‘갤리’
- '항공 운송' 쉬인, 탄소 배출량 2배 증가
- H&M, 패션 공급망 탈탄소화에 1000만 달러 투자… 업계 확산되나
- 중고 의류 시장 성장세 가속…2025년 360조원 돌파 전망
- ‘투자 유치’ 프랑스, ‘탈미국’ 클린테크 스타트업 잡았다
- H&M, ‘패션 대기업 친환경 성적표’ 1위…쉬인은 ‘F’
- 룰루레몬, 호주 스타트업과 재활용 섬유 10년 장기구매 계약 체결
- H&M發 순환 섬유 생태계 확장…갭·타깃도 사이르 손잡았다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