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벤치마킹 얼라이언스(WBA, World Benchmarking Alliance)가 ‘자연과 생물다양성 벤치마크’ 방법론 최종안을 발표했다. WBA는 이 방법론을 적용해, 22개 산업분야에서 생물다양성과 관련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0개 기업을 평가하겠다는 걸 목표로 삼고 있다.
공개된 최종안에 따르면 WBA는 올해까지 의류, 화학, 광업, 타이어 등 8개 산업에서 406개 기업을 먼저 조사해 올해 12월 첫 번째 벤치마크를 발표한다. 아디다스, H&M, 빈치, 바스프, 미쉐린, 글렌코어 등이 대상이다.
내년에는 전자, 식음료, IT, 석유·가스, 반도체, 소매점 등 635개 기업을 조사할 예정이다. 애플, 아마존, 이베이, BP, 쉘, 엑손모빌, 사우디아람코, 맥도날드, 에넬 등이 포함된다. 삼성전자 또한 내년 조사 대상이다.
관련기사: WBA, 생물다양성 벤치마크 1000대 기업 삼성전자 포함
벤치마크 조사 대상 선정은 SDG2000의 기업 식별을 안내하는 5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관련기사
- 삼성도 카카오도 RE100...재생에너지 봇물 터지나
- 오스테드, 풍력 발전과 생물다양성 두 마리 토끼 잡는다고?
- 2000% 성장 기대…생물다양성 시장에 뛰어든 영국 자산운용사들
- 올해 UN생물다양성협약 회의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나
- GRI 생물다양성 공시기준 개정안 작업, 2022년 3분기에 공개초안 마무리
- TNFD, 다보스에서 주목...스위스장관들 "몇년 내 TNFD 의무화할 것"
- PBAF, 금융섹터의 ‘생물다양성’ 영향도 측정 위한 표준 발표
- 케임브리지대 보고서, 대규모 생물다양성 손실 글로벌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질 것
- 삼성전자 2050 탄소중립 발표, 어떻게 봐야 하나
- "삼림 개발 땐 원주민 목소리 의무적 청취"… 토지 권리 표준 발표
박지영 editor
kitty8510@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