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25일 (현지시각) 넷제로 금융을 이끌 ‘전환 계획 태스크포스(TPT,Transition Plan Taskforce)'를 발족했다. TPT는 영국이 지난 COP26에서 약속한 상장기업과 금융회사의 넷제로 발표 의무화를 이행하기 위한 기구다.

TPT는 연말까지 기업의 넷제로 계획 모범 사례를 만들고, 일반 및 부문별 공시 및 측정 기준을 담은 지침과 템플릿 세트를 개발할 예정이다. TPT는 과학 기반 전환 계획에 대한 강력한 기준과 기대치를 설정하여,  2023년부터 이를 적용할 계획이다. 

영국은 이 지침을 통해 자국의 넷제로 목표와 그린워싱을 방지함과 동시에 글로벌 표준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이다. 재무부는 성명에서 “태스크 포스는 그린워싱을 해결하기 위한 ‘엄격하고 강력한’ 조치를 개발하고, 높은 투자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전환 계획을 기업이 마련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TPT 실행 목표와 같은 상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하단에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확인할 수 있다./TPT
TPT 실행 목표와 같은 상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하단에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확인할 수 있다./TPT

 

TPT…2023년 넷제로 공시 의무 지침 만든다

전환 계획 태스크포스는 기후 관리⋅감독 9가지 실행 목표를 연말까지 달성할 계획이다. 최우선 목표는 전환 계획 공개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영국 기업들은 이 프레임워크가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2023년부터 넷제로 목표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공개 부문은 넷제로 단기 및 장기 목표, 기후 완화 및 적응을 위한 조치, 자본 지출 계획, 화석 연료의 단계적 폐지 및 새로운 투자 지역 확대 계획 등이다. 

TPT는 제3자 검증에 관한 지침과 프레임워크에 따라 넷제로 목표를 공개할 수 있는 템플릿도 제공한다. 템플릿은 아직 미완성인데, ISSB(국제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 TCFD(기후관련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IOSCO(국제증권관리위원회), GFANZ(탄소중립을 위한 글래스고 금융동맹) 등과 같은 국제기구가 참여해서 작업 중이다.  

TCFD는 전환계획 지침을 확정했고, 클라이밋 액션 100+IIGCC(기후변화에 관한 기관투자자그룹)도 작업에 참여했다. GFANZ는 금융 부문 전환 전략에 관한 모범 사례 원칙을 개발하고 있다.

 

운영, 작업, 사무국으로 구성…英 ESG 리더들 대거 포진

태스크포스는 운영국, 작업 관리국, 사무국으로 운영된다. 운영국은 소수의 시민사회, 학계, 산업의 경영자와 장관 13명으로 구성된 의사결정 및 감독 기구로, 공동 의장 두 명이 소속되어 있다. 

현재 의장은 영국 보험사 아비바(Aviva)의 CEO 아만다 블랑과 존 글렌 재무부 금융서비스 총괄이 맡았다. 위원은 메리 샤피로 GFANZ 부의장, 사라 브리든 영란은행 기후변화 책임, 던컨 클락 오스테드 영국 지부장, 그레임 피케틀리 유니레버 CFO, 미셸 스크림저 LIGM CEO 등이 참여한다. 

작업 그룹(Delivery Group)은 다양한 금융과 하위 부문과 실물 경제 주제를 다룬다. 이 그룹에는 기업, 금융기관, 규제 기관, 정책 입안자, 시민 사회 및 학계의 대표 30명이 포진해 있다. 

니콜레트 바틀렛 CDP 최고임팩트책임자(Chief Impact Officer), 렘코 피셔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기후책임, 잉그리드 홈즈 녹색금융연구소(Green Finance Institute) 이사, 캐서린 하워드 셰어액션 CEO, 에밀리 맥킨지 TNFD 기술책임, 페이드 워드 IIGCC 의장이 이 그룹에 참여한다.  

사무국은 영국 녹색금융투자센터(CGFI, UK Centre for Green Finance and Investment)와 기후변화 싱크탱크 E3G가 운영한다. 사무국 책임자는 CGFI 센터장인 벤 칼데콧 박사와 케이트 레빅(Kate Levick) E3G 지속가능금융 프로그램 리더가 맡았다. 감독기구는 영국 금융행위감독청(FCA)이 담당한다.

블랑 부의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최악의 영향을 막으려면, 모든 기업이 야심 차고 일관된 저탄소 전환 계획을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