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은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를 둘러싼 춘추전국시대를 겪고 있다. 의회에서는 공화당과 민주당, 지역에서는 주별로 입장이 첨예하게 갈린다. 민간과 주 정부간의 갈등도 있다.
석유기업과 환경단체의 갈등 구도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주 화석연료 규제 정책 폐기를 요구하는 석유기업의 서한과 이를 반대하는 환경단체의 소송을 동시에 받았다.
행정부는 석유기업과 환경단체의 압박 속에서, 중심 잡기에 힘을 쓰는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에너지 문제를 논의하는 정상회담과 미국 석유 대기업들과의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환경단체, “새 화석연료 프로젝트 승인 안 한다는 공약 지켜라”
관련기사
- 바젤감독위, ‘기후관련 금융 리스크 관리·감독을 위한 원칙’ 발표
- 바이든 대통령, 정유회사에 생산 관련 상세 정보 요구
- SEC 기후공시에 대한 겐슬러 회장의 생각은?
- 블랙록, JP모건,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찍혔다...국영사업 운영 못할지도
- 3분의 1이 환경 세션이었던 다보스포럼, 7개 포인트
- GRI 생물다양성 공시기준 개정안 작업, 2022년 3분기에 공개초안 마무리
- "기후위기는 과장됐다”고 언급한 HSBC 책임 투자 담당자, 정직 처분
- 올해 UN생물다양성협약 회의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나
- 美대법원의 EPA 권한 박탈과 다음 타깃 지명된 SEC
- 2000건 기후소송의 8대 전략…정부 넘어 기업으로, 화석연료 넘어 타산업으로
- 윤석열 정부의 5대 에너지 정책 방향, 핵심은?
- EU의 역내 공급망 구축 정책에 올라타야… 코트라 보고서
- 미 상원에서 흔들리는 바이든의 기후법안
- 바이든, 기후비상사태 선언은 없었다...풍력은 늘고, 항공업계는 긴장
- 에너지 안보 vs 기후변화 대응... 영국의 딜레마
- 미 백악관,국가환경정책법(NEPA) 개정 제안... ACORE, 투자자들 IRA 이후 청정에너지 좋게 평가해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