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 정부가 다양한 인센티브 패키지를 내세우며 현대자동차 그룹과 GM등 전기 자동차 공장 건설 유치에 나서고 있다. 주 정부는 토지 용도 변경 및 세금 감면 등이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논란도 일고 있다.
주 및 지방 정부는 고용 창출 및 유지를 위해 고용주 세금 공제, 맞춤형 직업 훈련 및 인프라와 같은 경제 개발과 관련한 인센티브를 주는 경우가 많다. 최근 주 정부들은 전기자동차 공장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 공장을 유치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포드 자동차는 테네시, 켄터키 주에 110억달러(약 15조8000억원) 규모의 전기 자동차 프로젝트 부지를 짓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지난 1월, 제네럴 모터스(GM)는 미시건 주에 65억달러(약 9조3000억원) 규모의 전기 픽업 트럭 공장과 배터리 공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전했다. 주에서 마련한 18억달러(약 2조6000억원) 인센티브 패키지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5월, 55억달러(약 7조9000억원)를 투자해 조지아주 서배너에 전기자동차 전용 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주정부로부터 세제 혜택을 포함한 2조원 이상의 인센티브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골드만삭스, “IRA 영향, 시장이 아직 파악하지 못해”...EU에선 보조금 공식 문제제기할 듯
- 도요타-파나소닉 합작사, 미국 네바다주 리튬 공급받는다
- GM, 포드, 스텔란티스…미 의회에 전기차 세금공제 풀어달라 요청
- 2022 전기차 전망 보고서...EV 제조사와 협력업체 미래는?
- 테슬라 제친 EV 스타트업 리비안, 전기자동차 1위 성장 전략은?
- 현대차, 폭스바겐, 벤츠는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어떻게 대응하나
- 르노, 3조원 매출 목표로 재활용 자회사 설립
- 스텔란티스 CEO,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재협상" 촉구
- 바이든 행정부, IRA, '미국 배터리 재료 이니셔티브' 창설... 전기차 배터리에 집중
- 3분기 전기차 판매, BYDㆍSAIC 등 중국 기업 성장세 주목
- 전기차 고속도로 충전의 미래는?… 미국 최초의 연구 결과 나와
- 자동차 제조사가 공급망 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은?
- 런던, 초저배출구역(ULEZ) 시 전체로 확대… 시민 반대 빗발쳐
- EU, 미국 IRA에 민감… 유럽 기업에 대한 면제 원해
- 미국 내 기가배터리 허브가 될 주는 어디?
- 포드, 2025년부터 테네시 주에서 연간 50만대 EV 생산
- 전기차 제조기업 니콜라의 일희일비…수소연료차 주문 증가에 이어 CEO 돌연 사임
유미지 editor
josee@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