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일본 금융감독청(FSA)의 ESG 펀드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이 발효된다. ESG에 기여한다는 근거가 없다면 펀드에 ‘ESG’, ‘지속가능성’, ‘친환경’ 등의 라벨을 붙일 수 없다. 강제성은 없는 권고 수준이지만, FSA는 앞으로 그린워싱이 의심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까지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지 언론 재팬타임즈에 따르면, FSA는 오는 4월부터 ESG 펀드 가이드라인을 가동키로 했다. 지난해 12월 일본은 유럽 뿐 아니라 인도 등 아시아 규제당국이 ESG 펀드의 그린워싱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 ESG펀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펀드에 근거없이 ‘ESG’ 등 라벨을 남발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 골자다. 

블룸버그가 모닝스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FSA의 가이드라인에 영향을 받는 일본의 ESG 펀드는 기존 펀드의 약 7%, 자산가치로 따지면 약 18억달러(약 2조3000억원)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드라인의 초점은 규제보다 예방에 맞춰져 있다. ESG 펀드의 진가를 식별하기 위해 도입된 유럽의 지속가능금융 공시규정(SFDR)이 모호성으로 인해 비판을 받고 있다는 지점을 고려해, ESG를 정의하기보다 그린워싱을 예방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FSA 다카다 히데키 국장은 “빠르게 진화하는 분야에서는 ESG의 정의를 좁히는 것이 너무 어렵다”면서 “엄격한 라벨 부착 규칙을 도입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했다. 

관련기사: SFDR ‘제9조 펀드’ 자격 미달 5분의1이나 해당?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SFDR #일본 #F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