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일본 금융감독청(FSA)의 ESG 펀드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이 발효된다. ESG에 기여한다는 근거가 없다면 펀드에 ‘ESG’, ‘지속가능성’, ‘친환경’ 등의 라벨을 붙일 수 없다. 강제성은 없는 권고 수준이지만, FSA는 앞으로 그린워싱이 의심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까지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지 언론 재팬타임즈에 따르면, FSA는 오는 4월부터 ESG 펀드 가이드라인을 가동키로 했다. 지난해 12월 일본은 유럽 뿐 아니라 인도 등 아시아 규제당국이 ESG 펀드의 그린워싱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 ESG펀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펀드에 근거없이 ‘ESG’ 등 라벨을 남발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 골자다.
블룸버그가 모닝스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FSA의 가이드라인에 영향을 받는 일본의 ESG 펀드는 기존 펀드의 약 7%, 자산가치로 따지면 약 18억달러(약 2조3000억원)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드라인의 초점은 규제보다 예방에 맞춰져 있다. ESG 펀드의 진가를 식별하기 위해 도입된 유럽의 지속가능금융 공시규정(SFDR)이 모호성으로 인해 비판을 받고 있다는 지점을 고려해, ESG를 정의하기보다 그린워싱을 예방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FSA 다카다 히데키 국장은 “빠르게 진화하는 분야에서는 ESG의 정의를 좁히는 것이 너무 어렵다”면서 “엄격한 라벨 부착 규칙을 도입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했다.
관련기사
- 일본, 세계 최초로 ESG 평가등급 제공업체 위한 행동규범 발표
- ISSB 워킹그룹, 한중일 중 한국만 빠졌다...KSSB 자문위 멤버는?
- 日 금융당국, ‘녹색채권 공통 플랫폼 구축’...국내 기후채권은 하나도 없어
- 그린워싱과 싸워라... 덴마크 규제대응팀 꾸리고, 일본금융청 ESG펀드 라벨 규정안 마련
- ESG 돌풍 너무 강했나... 규제 어른어른
- 빅테크 플랫폼은 화석연료 그린워싱으로 이득 취한다?
- 영국, 새 소비자법 발표 임박…그린워싱 기업에 벌금 더 매긴다
- 올해 하반기 내 ESG 공시기준 확정... 쟁점은?
- 챗(Chat)GPT, ESG보고서도 작성할까?
- 전경련, 탄소감축 위해 일본 JCM모델 벤치마킹한 국제협력 강조
- 불황 끝 호황 시작…국내외에서 주가 상승 중인 ESG 펀드
- 기후 변화 투표에 직면한 일본의 3대 은행
- DWS, 미국 최대 규모의 기후행동펀드 출시
- 모닝스타, ESG ‘전통 강자'는 유럽...‘신흥 강자'로 홍콩·대만 떠올라
- 모닝스타, 올해 1분기에 출시된 지속가능성 펀드 역대 최저 수준
- MSCI, SFDR 부합하는 ESG 펀드 여전히 적어…‘정보 공개 시기가 관건’
박지영 editor
kitty2988@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