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 조사결과, 전체 임원 1만2059명 중 여성임원은 554명,
여성 이사는 4546명 중 159명으로, 이사 수 감소에도 오히려 증가
여성이사 비율 2.7%에서 3.5%로

 

글로벌기업들은 ESG 흐름 가운데 눈에 띄는 아젠다는 기후변화, 공급망 인권, 젠더(Gender) 다양성이다. 특히 젠더 다양성은 우리나라 기업이 글로벌 흐름에 매우 뒤쳐진 분야 중 하나다. 여성임원과 여성이사의 숫자는 단지 남녀 숫자만을 보여주는 게 아니다. 근무조건의 유연성이나 조직문화, 의사결정의 다양성 등을 모두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다. 국내 기업은 어떨까. 

<임팩트온>이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의 전체 임원(비등기) 을 조사한 결과, 국내 상장사 전체 임원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임원들의 숫자는 오히려 늘거나 소폭감소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임원 대비 여성임원의 경우 1만2059명 중 554명으로, 4.6%를 차지했다(2020년 6월 기준, 성별 비공개 265명 제외). 이는 지난해 말 3.4%에 비해 1.2%p 늘어난 수치다. 특히 상장사 전체 임원이 지난해말 1만7333명에서 올해 1만2059명으로 5274명이나 줄어들었음에도, 여성임원들은 596명에서 554명(-42명)으로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적었다.

  전체임원 여성임원 비율(%)
2019년12월말 1만7333 596 3.4
2020년6월말 1만2059 554 4.6

*단위: 명, 성별비공개 265명 제외, 코스피 기업공시자료

 

상장사 전체 이사 639명 줄었으나, 여성이사는 오히려 19명 증가

상장사 전체의 여성이사 비율 또한 전체 4546명에서 159명으로, 3.5%를 차지했다(성별 비공개 560명 제외). 이 수치는 지난해말 전체 5203명 대비 140명으로, 2.7%에 비해 0.8%p 증가한 것이다. 상장사 전체의 이사 숫자 또한 임원과 마찬가지로 639명이나 줄어들었으나, 여성 이사의 숫자는 오히려 19명 늘어났다.

  전체이사 여성이사 비율(%)
2019년12월말 5203 140 2.7
2020년6월말 4564 159 3.5

 **단위: 명, 성별비공개 560명 제외, 코스피 기업공시자료

 

여성임원 10명 넘는 기업은 아모레퍼시픽, CJ제일제당, 네이버, 삼성전자 등 4곳

한편, 코스피 상장사 100대 기업 중 여성임원이 한명이라도 있는 기업은 67곳으로 나타났다. 여성임원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부광약품(44.4%), 한진칼(33.3%), 한미약품(27.3%), 제일기획(27.3%), NHN(26.7%), 아모레퍼시픽(23.3%), CJ제일제당(21%) 등이었다. 여성임원이 10명 넘는 기업은 100대기업 중 아모레퍼시픽(14명/60명), CJ제일제당(17명/81명), 네이버(16명/99명), 삼성전자(50명/1045명) 등 4곳이었다. 반면, 여성임원이 단 한 명도 없는 회사는 30곳으로 드러났다. 카카오, 한전KPS, 강원랜드 등 3곳은 비등기임원 숫자 공개를 하지 않아 제외했다.

기업 여성임원 전체임원 여성임원 비율
부광약품 4 9 44.4%
한진칼 1 3 33.3%
한미약품 9 33 27.3%
제일기획 6 22 27.3%
NHN 8 30 26.7%
신세계인터내셔날 3 12 25.0%
아모레퍼시픽 14 60 23.3%
CJ제일제당 17 81 21.0%
LG생활건강 8 41 19.5%
신세계 6 31 19.4%
유한양행 2 12 16.7%
셀트리온 6 37 16.2%
NAVER 16 99 16.2%
CJ 3 20 15.0%
녹십자 3 20 15.0%
F&F 1 7 14.3%
삼성증권 3 24 12.5%
엔씨소프트 7 56 12.5%
오뚜기 1 9 11.1%
KB금융 1 10 10.0%
KT 9 96 9.4%
코웨이 2 22 9.1%
LG유플러스 6 67 9.0%
이마트 3 35 8.6%
SK이노베이션 7 85 8.2%
롯데쇼핑 8 99 8.1%
롯데지주 2 25 8.0%
한국전력 1 13 7.7%
현대백화점 3 39 7.7%
삼성화재보험 4 53 7.5%
넷마블 2 27 7.4%
SK텔레콤 7 101 6.9%
현대해상 3 45 6.7%
미래에셋대우 6 99 6.1%
SKC 1 17 5.9%
대한항공 4 75 5.3%
신한금융지주 1 19 5.3%
메리츠종금증권 2 39 5.1%
삼성SDI 4 83 4.8%
삼성전자 50 1,045 4.8%
메리츠화재 2 42 4.8%
삼성물산 7 151 4.6%
POSCO 3 69 4.3%
삼성카드 1 23 4.3%
SK 3 74 4.1%
LG화학 7 176 4.0%
CJ대한통운 2 53 3.8%
삼성생명 2 54 3.7%
에스원 1 27 3.7%
현대엘리베이터 1 29 3.4%
효성 1 31 3.2%
농심 1 33 3.0%
금호석유 1 34 2.9%
하이트진로 1 34 2.9%
한온시스템 1 35 2.9%
키움증권 1 36 2.8%
LG이노텍 1 38 2.6%
LG전자 8 351 2.3%
대림산업 2 89 2.2%
한국타이어 2 92 2.2%
현대자동차 8 371 2.2%
삼성중공업 1 47 2.1%
삼성전기 1 49 2.0%
NH투자증권 1 49 2.0%
롯데케미칼 2 100 2.0%
KT&G 1 55 1.8%
가아자동차 1 147 0.7%
여성임원이 한명도 없는 기업(30곳)  하나금융(0/7), S-OIL(0/25), SK하이닉스(0/188), 현대모비스(0/89), 현대글로비스(0/31), 현대건설(0/84), 고려아연(0/24), 한국조선해양(0/29), GS(0/4), 현대중공업(0/12), 일진머티리얼즈(0/6), 한국금융지주(0/9), 호텔신라(0/20), 대우조선해양(0/42), 포스코케미칼(0/11), DB손해보험(0/54), 현대제철(0/75), GS리테일(0/24), BGF리테일(0/15), 쌍용양회(0/10), 한화솔루션(0/81), 한국항공우주(0/33), 삼성엔지니어링(0/59), 한국가스공사(0/7), 두산밥캣(0/3), 한미사이언스(0/6), 휠라홀딩스(0/2), GS건설(0/57), 팬오션(0/7), 동서(0/12) 
카카오, 강원랜드, 한전KPS 0 0 비공개

*단위: 명, 코스피 기업공시자료

 

여성이사 2명인 기업은 6곳, 카카오ㆍS-OILㆍ삼성카드ㆍKB금융ㆍ삼성전자ㆍ한국전력

코스피 상장사 100대 기업 중 여성이사가 한 명이라도 있는 기업은 37곳으로 나타났다. 여성이사가 2명인 기업은 카카오(2명/7명), S-OIL(2명/11명), 삼성카드(2명/7명), KB금융(2명/9명), 삼성전자(2명/11명), 한국전력(2명/14명) 등 6곳이었다. 여성이사가 단 한 명도 없는 회사는 63곳이었다. 

기업 (F)이사 전체 이사 (F)비율
여성이사가 2명 있는 기업(6곳) 카카오(2/7), S-OIL(2/11), 삼성카드(2/7), KB금융(2/9), 삼성전자(2/11), 한국전력(2/14)
여성이사가 1명 있는 기업(31곳) 녹십자(1/5), 포스코케미칼(1/6), 부광약품(1/6), 삼성SDI(1/7), 삼성전기(1/7), 삼성중공업(1/7), NAVER(1/7), 엔씨소프트(1/7), 넷마블(1/7), 호텔신라(1/7), 아모레퍼시픽(1/8), SK텔레콤(1/8), SK이노베이션(1/8), 미래에셋대우(1/8), 키움증권(1/8), KT&G(1/8), 휠라홀딩스(1/8), 삼성물산(1/9), 하나금융(1/9), SK하이닉스(1/9), 한온시스템(1/9), 롯데쇼핑(1/9), 대한항공(1/9), 효성(1/10), 한전KPS(1/10), 롯데케미칼(1/11), 한진칼(1/11), KT(1/11), 한화솔루션(1/11), 한국가스공사(1/12), 신한금융지주(1/13)
여성이사가 한명도 없는 기업(63곳)

 CJ제일제당(0/7), LG생활건강(0/7), 삼성화재보험(0/7), 삼성증권(0/7), 코웨이(0/7), 삼성생명(0/7), LG화학(0/7), SK(0/9), POSCO(0/12), LG전자(0/7), 한국타이어(0/5),  현대자동차(0/11), 현대모비스(0/9), 현대글로비스(0/9), 현대건설(0/7), 셀트리온(0/9), 기아자동차(0/9), 고려아연(0/9), 한국조선해양(0/7), LG유플러스(0/7),  강원랜드(0/13), GS(0/7), 현대중공업(0/5), CJ대한통운(0/7), 한미약품(0/8), 유한양행(0/12), 에스원(0/8), 이마트(0/7), 일진머티리얼즈(0/5), 한국금융지주(0/8), 대우조선해양(0/7), LG이노텍(0/7), 대림산업(0/8), NH투자증권(0/9), 롯데지주(0/9), DB손해보험(0/5), F&F(0/5), 현대제철(0/9), GS리테일(0/7), SKC(0/7),  메리츠화재(0/5), BGF리테일(0/7), 쌍용양회(0/7), 현대백화점(0/9), 신세계(0/7), 신세계인터내셔날(0/7), 한국항공우주(0/5), 현대해상(0/7), 삼성엔지니어링(0/7), 금호석유(0/10), 하이트진로(0/5), CJ(0/7), 제일기획(0/6), 두산밥캣(0/5), 한미사이언스(0/5), 농심(0/7), 메리츠종금증권(0/5), 오뚜기(0/5), NHN(0/6), GS건설(0/7), 팬오션(0/7), 동서(0/5), 현대엘리베이터(0/7)

*단위: 명, 코스피 기업공시자료

 

여성임원과 여성이사가 한명도 없는 기업 22곳, 현대 계열 눈에 띄어 

한편, 여성임원, 이사가 한 명도 없는 기업은 22곳이었다. 주로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현대제철 등 현대 계열사들이 눈에 띄게 많았다. 

◆여성이사와 여성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22곳)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건설, 고려아연, 한국조선해양, GS, 현대중공업, 일진머티리얼즈, 한국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DB손해보험, 현대제철, GS리테일, BGF리테일, 쌍용양회, 한국항공우주, 삼성엔지니어링, 두산밥캣, 한미사이언스, GS건설, 팬오션, 동서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