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의 【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미국과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서 고율의 관세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측 모두 서로 내로남불로 대응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오랫동안 중국에서 값싸게 아웃소싱을 하면서 이득을 취했고, 그 세월 동안 중국은 기술과 노하우를 쌓았다. 또한, 관세와 정부 보조금 문제도 양측이 매우 비슷한 상황이다.
- 6월에도 전기트럭과 수소연료 전지 트럭 기사가 많았다. 특히 현대차의 수소연료 전지 트럭이 1000만km 주행기록을 세웠고, 이에 질세라 볼보는 전기트럭으로 6000만km 주행기록을 세웠다.
- 전기차 배터리에서는 일본의 소재 기업 메이조나노 카본이 SK머티리얼즈가 ‘리튬이온배터리(LIB)’에서 협력한다는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또한, 배터리 재활용 기술이 탁월한 영국의 알틸륨이 엔바(Enva)와 손잡고 본격적으로 배터리 수거와 재활용에 나섰다.
관련기사
- 폭스바겐과 첨단 전기차 플랫폼 합작투자 리비안, 주가 급등
- JP모건, 로보택시 공개 앞두고 테슬라에 찬물… “실질적인 수익 창출 못할 것”
- 포스코 투자받은 美에너지엑스, 대규모 리튬 생산 프로젝트 발표
- 로봇으로 전기차 수리하는 스타트업 키네틱(Kinetic), 292억원 자금 조달
- 美중국 특위, 대중국 견제 수위 높여...배터리 업계 제재 및 중국산 광물 규제 추진
- SK머티리얼즈, 사업제휴하는 탄소나노튜브…엑손모빌도 도전하는 탄소소재 산업
- 애플 공급업체 일본의 TDK,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 혼다와 미쓰비시 상사, 전기차 합작회사 설립하고 3가지 사업 추진
- EU도 중국 전기차에 21%로 상계관세, 최대 38.1%까지 고율관세 부과키로
- 파나소닉 에너지, 상용 전기 트럭에 최초로 배터리 제공
- 【월간 ESG 아카이빙】6월-순환경제와 기후테크
- 【월간 ESG 아카이빙】 6월 - 공시 및 ESG 리스크
- EU, 중국산 전기차 잠정관세 47.6% 부과...독일은 확정 전 중국과의 ‘협상’ 촉구
- 배터리 점유율 CATL은 전년 대비 31% 늘고, 한국 3사는 소폭 하락
- 폭스바겐, 중국의 샤오펑과 손잡고 전기차 E/E아키텍처 생산
- 미쓰비시, 닛산, 혼다...소프트웨어 개발 위해 뭉친다
- 【월간 ESG 아카이빙】 7월 - 자동차
- 도요타, 혼다-닛산 소프트웨어 연합에 참여해야 살아남을 것...일본 SDV 전망
- BYD,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 급상승
- 메르세데스-벤츠, 최초로 자율주행 레벨4 테스트 허가
- 구글 자회사 웨이모의 신형 로보택시는 중국산 전기미니밴
- 도요타와 BMW, 수소차 동맹 업그레이드... 시장 1위 현대차 노린다
- GLS 독일, 현대차 수소 트럭으로 3만km 시범 운송 성공
- 볼보, 한 번 충전으로 600km 가는 전기트럭 공개
- 【월간 ESG 아카이빙】 8~9월 - 자동차
- BYD,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1000만대 돌파.....자체 반도체도 제작
- 메르세데스-벤츠의 비전2040....가상현실까지 동원
- 영국 최초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공장 오픈
- 【월간 ESG 아카이빙】10~11월 - 자동차
홍명표 editor
ho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