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감독위원회(SEC)가 보다 광범위한 탄소배출 공시 규정을 준비하고 있어 기업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SEC은 상장사들이 기후변화가 어떻게 자사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기후 공시’ 규정 마련에 돌입했다. 마련 중인 이 규정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0~52% 감축하겠다는 국가적 목표의 일환이다.
당초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SEC 위원장은 2021년 10월까지 기후 공시 규정 초안을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내부 검토의 필요성으로 2022년 초로 공개를 미뤘다. 정통한 로이터 소식통에 따르면 SEC이 초안 발표를 미룰 만큼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는 부분은 ‘스코프 3’를 기업 공시 내용으로 담을 지다.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에 따라 기업의 탄소배출원은 스코프(Scope) 1, 2, 3으로 각각 분류된다. ‘스코프 1’은 생산 과정에서 기업이 직접 배출하는 탄소 배출량을 뜻하고, ‘스코프 2’는 기업이 생산을 위해 구매하여 사용하는 전기, 증기, 냉난방 등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을 가리킨다. 스코프 3는 가치사슬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전체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뜻한다. 즉, 공급망에서의 생산을 비롯해 고객에게 유통되고 판매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 모두를 아우르는 것이다.
관련기사
- SEC에 전달된 애즈유소우(As You Sow)의 '그린워싱 펀드' 식별 보고서
- 美 OCC, ‘기후 금융 리스크 평가 지침’ 마련 중
- 영국 금융감독청(FCA), ‘TCFD 연계 기후공시’ 의무 규정 발표
- SEC 개정 지침, "ESG안건 철회 기업 맘대로 못해"
- 뉴질랜드, 세계 최초로 금융회사 기후변화 공시법안 통과
- TCFD 공시 기업 2배 늘었다...탄소집약도와 기업가치간 상관관계는?
- 캘리포니아 상원, ‘대기업 온실가스 배출 공시 법안’ 美 최초로 통과
- 탄소 회계 위해 MS와 20개 조직 힘 합친 ‘카본 콜’ 이니셔티브 출범
- 조 바이든 행정부, 청정수소에 95억 달러 투자 시작했다
- ‘카본플레이스’에 UBS등 대형은행 합류…자발적 탄소거래 플랫폼 강화된다
- SEC, 기후 공시 투표 또다시 연기…핵심 내용 톺아보기
- 美 SEC 기후공시 의무화…"5가지 핵심 포인트"
- "지속가능인증, 왜 급부상하나"...이수용 컨트롤유니온 코리아 대표 인터뷰
김효진 editor
hyojin@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