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5일(현지 시각) 청정수소의 생산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95억 달러(11조3877억원)를 투자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후 정책은 바이든 대통령이 작년 11월 15일에 서명한 초당적 인프라 법안을 근거로 5년간 청정수소의 인프라 마련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실행됐다.

미 행정부는 운송 및 산업 부문의 청정 수소 허브를 개발하는데 80억 달러(9조5872억원), 물-전기분해 청정수소 프로그램 10억 달러(1조1984억원), 수소 생산 및 재활용 기술 연구・개발에 5억 달러(5992억원)를 투자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정부의 새 기후 정책 소식을 알렸다/조 바이든 대통령 트위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정부의 새 기후 정책 소식을 알렸다/조 바이든 대통령 트위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 시각) 트위터에 “기후 변화는 매우 긴급한 상황(Code red)이므로  지체할 시간이 없다”며 “그래서 우리 행정부는 오늘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좋은 임금 및 일자리를 위한 행동을 발표했다”라고 강조했다.

 

청정수소에 95억 불 투자...공정 개선과 비용의 효율성 증대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5일(현지 시각) 성명을 통해 “미국은 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이 발생하므로,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통해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주무기관인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초당적 인프라 법안(Bipartisan Infrastructure Law)을 근거로, 청정 수소의 인프라 마련에 95억 달러를 투입했다. 예산은 청정 수소 허브 개발, 수전해 청정수소 프로그램, 수소 생산 및 재활용 R&D(연구개발)에 투자된다.

청정 수소 허브를 개발하는데는 80억 달러(9조5872억원)가 할당됐다. 청정수소 허브는 지역별로 청정 수소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게 목적이다. 에너지부는 “허브를 통해 청정 수소의 생산, 처리, 운반, 전달, 저장 및 최종 사용을 앞당기고, 지역 거주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10억 달러(1조1984억원)는 수전해 청정수소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로 분해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청정수소는 수전해에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과 풍력 같은 저탄소 에너지원을 통해 생산하게 되는데, 에너지부는 청정수소의 생산과 공급을 연구하고 개발해서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청정 수소의 생산과 재활용 기술의 연구개발에는 5억 달러(5992억 원)가 투입된다. 에너지부는 “기술 개발을 통해,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국산화하고 수소를 재활용해서 비용 효율성을 개선하겠다”고 전했다. 에너지부는 지난주에 청정 수소의 비용을 10년 안에 수소 1kg당 1달러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R&D에 2800만 달러(335억원)를 투자했다고 발표했다.

행정부는 친환경 건축자재를 조달하고, 주요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친환경성을 식별하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바이 클린 태스크포스(Buy Clean Task Force)를 출범시켰다는 소식도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