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올해 주요 기업들의 기후문제에 대한 주주들의 제안에 대해서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10일(현지시간) 전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이 경색되고 있는데다, 일부 공화당 집권 지역의 '안티ESG' 법안 흐름 등의 움직임이 커지자 속도조절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일각의 분석도 나온다.
10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블랙록은 올해 기후변화 대책에 관한 주주결의안이 지나치게 극단적이거나 규범적인 방향으로 흘러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화석 연료 회사들에 대한 자금지원 중단이나 탄소배출량에 대한 절대적인 목표 설정 역시도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꼽았다.
약 10조 달러(1경2000조원)을 운용하는 블랙록은 "기후위험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으며, 기업들과 계속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블랙록은 미국의 규제당국이 중대한 ESG 정책 이슈를 다룰 경우 대리 투표의 범위를 넓혀주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ESG 이슈에 대한 주주제안을 더 쉽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사 경영진은 경영 현안과 관련 없다는 이유로 주주총회 안건을 자의적으로 배제할 수 없도록 했다.
덧붙여 블랙록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환경을 바꾸어 놓았으며,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전통적인 연료생산에 보다 많은 단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블랙록은 화석연료 회사들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하거나, 자산 폐기를 강요하거나 공급망과 배출량 감축에 대한 절대적인 목표를 설정하려는 제안에는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한 제안은 블랙록의 고객들에게 장기적으로 이익을 주지 않는다고 성명서에서 밝히고 있다.
- 올해 미국 주총에 주주 제안이 없었던 이유
- 블랙록, "운용자산 75%를 과학기반 넷제로 기업에 투자하겠다"…업계는 싸늘
- 블랙록 래리핑크 두번째 서한... "세계화의 종말", 재생에너지 미래는?
- 블랙록, 이사회 퀄리티와 효율성을 스튜어드십 우선순위로
- 【Trend Insight】 블랙록, 보수-진보 양쪽에서 공격받는 사연
- 미 셰브론, 엑손모빌 주주들...탄소 감축 가속화에 반대
- 맥도날드와 칼 아이칸의 대결, 그 결과는…맥도날드의 승리
- 투자자들, 총기업체에 인권 보고서 요구…미 총기규제 분위기 변화
- 【Trend Insight】이해관계자 자본주의 & 오크(woke) 자본주의 논쟁
- 블랙록 광고 캠페인까지...공화당 압력에 시민인식 개선 나서
- 블랙록, EMEA 네트워크 구축...북유럽, 영국, 프랑스 등 지속가능책임자들 잇따라 합류
- 블랙록, JP모건,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찍혔다...국영사업 운영 못할지도
- 블랙록, 에너지 전환에 초점을 맞춘 영구 인프라 전략 수립에 나서
- 증시 하락세, ESG는 시험에 들었나
- 텍사스, 플로리다...다음은 어디? 안티 ESG의 정치적 움직임
- 반ESG 정서, 자산운용사에 타격 주지 않는다… 세룰리 어소시에이츠 연구
- 미국 내 주주제안 다양해지고 영향력은 커졌다, 한국ESG기준원 분석
- 다가오는 3월 주총…2022년 미국의 ESG 주주투표 어땠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