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정부의 배터리 여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BMW의 전기차/홈페이지
독일정부의 배터리 여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BMW의 전기차/홈페이지

유럽에서 전기차 판매가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배터리의 탄소발자국 및 배터리 재료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배터리 여권’을 도입하자는 논의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배터리 여권’이란 배터리의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친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배터리 재활용 및 순환을 통해 재사용을 촉진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배터리 여권’이 어떤 모습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상태다. 유럽에서는 배터리 여권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 2026년 1월 1일까지 통일된 기준을 설정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독일에서 가장 먼저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독일 경제부가 배터리의 내용물과 탄소 발자국을 추적하는 배터리 여권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24일(현지시각) 로이터가 보도했다.

독일 정부가 추진하는 배터리 여권은 독일정부로부터 820만 유로(109억원)를 지원받은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생산업체 등 11개 협력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추진한다. 컨소시엄은 배터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분류와 표준을 이미  개발한 상태다.

한편, 유럽연합은 유럽에서 판매되는 충전용 전기차 및 산업용 배터리는 2024년부터 탄소발자국 공개를 의무화한다. 2027년 7월부터는 배터리 탄소배출량 상한선을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2027년부터는 배터리 원료에 포함된 재활용 원료의 함량을 공개해야 하며 2030년부터는 재활용 코발트, 리튬, 니켈, 납을 일정 비율로 사용해야 한다. 

유럽의회는 지난 10일 ‘EU 배터리 규정’을 통과시키며, 배터리 가치사슬에서 ▲재활용원료 비율 강화 ▲라벨링 ▲배터리 수거 ▲탄소발자국 ▲공급망 실사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기준을 도입키로 했다. 

독일의 컨소시엄은 유럽에서 처음으로 이러한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지털 제품을 디자인하려는 프로젝트라고 독일 경제부는 밝혔다.

유럽의 다른 자동차 업체도 움직이고 있다. 스웨덴의 볼보자동차가 설립한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도 영국의 소프트웨어 업체인 서큘러(Circulor)와 협력해서 배터리 여권 준비하고 있다.

배터리 여권이 실현되면, 배터리에 전기차 소유자, 기업, 규제기관이 배터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연결되는 QR코드를 부착할 수 있다.  

독일 정부는 “배터리 여권은 배터리 원료의 재활용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리튬과 니켈과 같은 자원을 공급하는 해외 협력업체에 대한 의존도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