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에 대한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지면서,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에너지 정보업체 S&P 글로벌 플랫츠(S&P Global Platts)에 따르면, 국제항공 탄소감축상쇄제도 (CORSIA)의 인증을 받은 탄소배출권 가격은 지난 한해 무려 944% 상승했고, 조림 사업 등의 자연기반 탄소배출권 가격도 지난 6개월동안 174%나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탄소배출권의 가격상승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일례로 에너지·탄소분야 리서치 업체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BNEF)는 지난 10일 '2022 탄소상쇄시장 장기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지속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2050년 탄소배출권 가격, 2020년 대비 50배까지 상승할 수도..."
보고서는 탄소배출권 시장에 대한 전망으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관련기사
- 【뉴스읽기】 COP26의 탄소시장 합의, 의미는?
- 【뉴스읽기】 SBTi, 세계 최초 '넷제로 표준' 출시한 배경
- 탄소 크레딧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VCM) 독립감시기구 출범
- 【Trend Insight】 미국 농업 탄소시장은 '골드러시', 탄소포집 농민한테 1톤당 20달러 준다
- ‘탄소세’ 도입의 바람직한 방향은?
- 온실가스 외부감축사업, 환경부와 산업부 입장차…기업은 정부 눈치만
- 자발적 탄소시장, 3분기에 핵심 탄소 원칙 나온다
-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의 넷제로 계획에 문제 수두룩…구체적인 재정비 필요
- EU 배출권 가격 오르자… “EU 개입 필요하다 vs 아니다” 논쟁 치열해
- ‘카본플레이스’에 UBS등 대형은행 합류…자발적 탄소거래 플랫폼 강화된다
- 탄소세가 기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 분석논문...로버드 에클스 옥스퍼드대 교수팀
- 산림 투자 기업의 내부 고발…눈먼 탄소 크레딧 팔아 600억 벌었다
- 셰브론 탄소 포집, 3년간 절반의 목표량 밖에 달성못해
- 【Trend Insight】 자발적 탄소상쇄시장의 최근 이슈와 흐름
- 자발적 탄소시장, 핵심원칙 및 평가 프레임워크 발표
- IFC, 블록체인 기반 탄소상쇄 플랫폼 공동출범
- 탄소 배출 상쇄 항공권 구매…진짜 효과 있을까?
송선우 editor
dustin93@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