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도 드디어 ‘글로벌 공급망(GVC) 분석센터’가 출범한다. 국내 유일의 공급망 분석 전문기관이다. 정부 부처, 무역관, 업종별 협회 및 주요기업 등으로부터 수집된 주요 산업 관련 국내·외 동향을 심층분석하고, 정부와 민간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전략 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로나 19와 미중 무역갈등, 탄소중립,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분쟁 등으로 인해 공급망 리스크가 심화되는 가운데 공급망 전담기관 신설을 추진해왔다. 센터 조직은 한국무역협회, 코트라 전문인력 및 업종별 협회 지원인력 등 30명을 구성되며, 센터장은 무역협회 조상현 국제통상무역연구원장이 맡는다.
이렇게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까지 개설한 이유는 최근의 공급망 이슈가 민관 단독으로 대응하기 어렵고, 리스크에 대한 예측과 대응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공급망 예측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가장 최근 사례는 바로 전기차 배터리의 필수 원료인 리튬이다. 9일 블룸버그는 “자동차회사, 채굴회사, 투자자들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전 세계가 얼마나 많은 리튬 공급을 필요로 할지, 또 얼마나 공급받을 수 있을지 수요-공급 예측을 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며 “문제는 그 예측이 천차만별이라는 점”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 LG 엔솔 투자한 북미 배터리 재활용 사업... 배터리 시장 이슈는?
- 포르투갈 리튬, 유럽 전기차 혁명의 주인공 될까?
- 전기차 배터리 필수 원자재 리튬 확보전 '활활'
- 산업연구원 보고서, 국내 산업의 공급망 안정성 강화 접근법은?
- 탄소중립 시대, '코발트' 볼모로 콩고선 식민지 재현 중
- 배터리를 잡아라...BMW는 소금으로 리튬 생산 시도, 포드는 배터리팩 재활용
- 6개 배터리공장 짓는 폭스바겐…미, EU 배터리 공급망 재편
- 재생에너지 배터리의 혁신스타트업 '폼에너지'...빌게이츠와 아르셀로미탈 수천억씩 투자
- 유엔 PRI, 16개 대기업 코발트 공급망 주주 관여활동 보고서 펴내...LG엔솔, 삼성SDI 포함
- 빌게이츠, 베조스까지 투자하는 AI 광물탐사기업 '코볼드 메탈' 뒤 숨은 전쟁
- 서큘러, 볼보 전기차 배터리 소재 추적 돕는 스타트업
- 탄소중립 핵심광물 희토류, 미국과 유럽 자체 공급망 구축한다
- 니켈, 리튬 등 광물 때문에 넷제로 어려워지나…IEA, 특별보고서 펴내
- 닛산, '코발트' 뺀 전기차 배터리 상용화 나서
- 구글ㆍBMWㆍ볼보ㆍ삼성SDI, "심해 광물 채굴하지 않겠다"
- “직접 배터리 만든다” EU 배터리 프로젝트 승인
- EU, 전기자동차 배터리 환경 기준 마련했다
- 구리, 니켈, 운모까지...광물에 관한 리스판서블 소싱(Responsible Sourcing) 확산
-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 LG화학 등 아시아기업 따돌리나
- 리튬 직접 추출(DLE) 기술, 전 세계는 진격 중
- 호주 최대 광산회사 리오틴토, 행동주의 주주 의견에 로비 그룹 탈퇴
- 포스코의 선견지명? 아르헨티나로 거침없이 돌진하는 리튬 사냥
- G7, “환경적으로 해가 없을 경우만 심해채굴 허용하기로”
- 【Trend Insight】미ㆍ중ㆍEUㆍ호주까지...배터리 전쟁,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키워드
Tags
#리튬
#전기차
#배터리
#불름버그
#뱅크오브아메리카
#BMO캐피털 마켓
#씨티
#피치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
#앨버말
#SQM
#간펑리튬
#리벤트
#리오틴토
박란희 chief editor
admin@impacton.net
